잔소리 없는 날 동화 보물창고 3
A. 노르덴 지음, 정진희 그림, 배정희 옮김 / 보물창고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에게 잔소리 없는 날은 해방의 날일까요?

-잔소리 없는 날을 읽고-

(안네마리 노르덴 글/보물창고 출판)
 

잔소리 없는 날이란?

제목으로 유추해 봤을 때,  

겉표지에 나오는 장난스럽게 생긴 주근깨 소년이

부모님 잔소리에서 해방되고 싶은 마음을 그린 책이 아닐까 예상했어요.

학교에서 3학년 아이들이 왜인지 

 <잔소리 없는 날>을 많이 읽는 것을 보고,

초등학교 3학년 교과 연계도서이기도 해서  

3학년 권장도서에 꽂혀있기도 했지만,

무언가 아이들의 관심을 끄는 요소가 있을거라 생각해서

아이들 책을 너무 좋아하는 저이기에 뽑아 들었습니다.

 

 이 세상에 잔소리를 듣기 좋아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거예요.

당돌한 꼬마 개구쟁이 푸셀이 하루 동안 겪게 되는 아슬아슬 하고 신나는 모험담을 그린

안네마리 노르덴의 동화,

부모님이 지나치게 간섭한다고 생각한 푸셀은

"엄마 아빠는 잔소리가 너무 심하세요! 이제 저는 더 이상 못 참겠어요!"

하고 투정을 부립니다.

어느 날 저녁 푸셀은 잔소리에 지쳐 쿠데타를 일으키고,

이 발칙한 쿠데타는 의외로 성공하게 됩니다.

하루 동안 '잔소리 없는 날'을 허락 받은 푸셀은 자두잼을 일곱 숟가락 퍼 먹고,

양치질을 하지 않고 거짓말을 한 채 수업을 빼먹고,

또, 비싼 물건을 사려고 하는 것, 거리의 술주정뱅이를 집 안으로 데려오는 것,

그리고 어두운 밤, 공원에서 텐트를 치고 지내는 것과 같이

엉뚱하고 어이없는 일들로 사고를 치죠.

저같으면 우리 아이들이 그랬다면, 벌써 폭발하여 몇 배의 잔소리를 넘어선 훈계를 했을텐데,

푸셀의 부모는 저의 기대와는 달리 용케 참고 넘어갑니다.

개구쟁이 푸셀이 하루동안 벌이는 아슬아슬한 '잔소리 없는 날' 대작전!

그러나 성공했을까요? 여러분의 예상대로 이 작전은

하나둘 난관에 부딪치며 제대로 되는 게 없게 됩니다.

 엄마와 아빠의 자상한 배려 덕분에 어려움을 이겨낸 푸셀은

잔소리가 사랑의 또 다른 표현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 성장동화입니다.

 

책의 뒷 부분에는 부모와 아이들에게 한 설문조사 결과가 나옵니다.

1)부모님께 가장 많이 듣는 잔소리는?

2)가장 듣기 싫은 잔소리는?

3)잔소리 들었을 때의 기분은 어떤가요?

4)'잔소리 없는 날'이 온다면 무엇을 할까요? 

역시나 '공부해라'가 가장 많이 듣고, 듣기 싫은 잔소리 1위였습니다.

아이가 이 잔소리를 안 하도록 알아서 공부해준다면 얼마나 행복할까요?

제가 엄마의 입장이 아니라 아이들의 입장이었다면,

"부모님이 굳이 잔소리를 하지 않으셔도 알아서 잘 할텐데요."

하며 잔소리에 대해 거부 반응을 보였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현재 세 아이의 엄마로서,

미운 세살짜리 큰 아이의 엄마로서 벌써부터 잔소리가 늘고 있기 때문에,

잔소리가 필요하다는 부모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단, 이런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공부를 하려고 하다가도 엄마가 "놀기만 하니? 공부 좀 해라!"

이렇게 잔소리하면 공부하려고 했던 마음이 싹 없어지는 게 아이들 마음입니다.

마음대로 되지 않는게 자식이라지만, 잔소리를 하기 보다는

그 잔소리를 미리 예방하기 위해

바른 생활습관을 어렸을 때부터 길러주는 것은 어떨까요?

부모님이 잔소리를 하시는 내용들을 보면 별 게 아닙니다.

공부, 텔레비전, 컴퓨터, 숙제, 청소, 양치질, 군것질 등등 아주 사소한 문제들이죠.

이런 것들에 대해 가정 내에서 조그마한 규칙들을 세워놓고

아이들이 스스로 지키도록 어렸을 때부터 훈련을 한다면

스스로 하는 규칙들이 습관화가 되면 엄마들의 잔소리는 의미가 없어질 거예요.

또, 규칙 외에 잔소리가 필요한 부분들에 있어서는

부드러운 엄마의 모습으로 자상하게 말을 건네 보는 것은 어떨까요?

"네가 엄마에게 말하지 않고 친구네 집에 가서 엄마는 정말 많이 걱정했단다.

너에게 무슨 일이 있을까봐 얼마나 노심초사했다구. 다음부터는 엄마에게 미리 알려주고 가면 안 될까?"

이런다면 어떤 아이가 이것을 잔소리라고 생각할까요?

아마도 잔소리는 똑같은 내용도 말하는 화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나봅니다.

물론 아이의 잘못에 속에서는 열불이 나는데, 겉으로는 온화한 얼굴로 자상한 척 하려니

엄청난 연기력이 필요한 것을 사실입니다.

하지만 우리 아이가 이렇게 함으로써 존중받고 있는 느낌을 받으며,

부모에 대해 신뢰하고, 공감하며 자신의 잘못된 행동들을 고친다면

부모님은 영화배우 뺨칠정도의 연기력까지도 보여주실 수 있지 않을까요?

아마 아이들도,

'그 때 우리 엄마가 하셨던 잔소리가 내가 바르게 크는 지름길이 되었구나.' 하고 깨닫게 될 것입니다.

어떤 부모교육서에서 보니 잘한 잔소리 하나는 우리 아이 인생을 바꾸어 놓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부모님들의 현명한 잔소리 기술이 요구되는 시대예요. 그에 대해 코치하는 서적도 많이 있구요.

역시 또 결론은 공부하는 부모가 되어야 한다는 거죠.

 

학교에서도 아이들에게 온갖 잔소리를 많이 하게 됩니다.

내 아이들이 한 반에 서른 명이 넘으니 일일이 잔소리 할 게 넘쳐나죠.

하지만 정말 노련한 교사는 눈빛 하나로 모든 것을 제압하죠.

이것도 하나의 기술입니다.

우리 치승이에게 부쩍 잔소리가 많아진 저를 반성해보며,

가끔 치승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당근과 채찍을 반복하며,

칭찬에 약한 아이를 보며,

잔소리 기술이란 게 별 것 아니라는 것을 깨닫습니다.

내가 제일 잘 아는 우리 아이 성향에 맞춰 아이에게 상승효과를 낼 수 있는 그런 잔소리,

하나쯤 개발해야지 않을까요?

부모로서 우리 아이에게 적합한 맞춤형 잔소리! 알고 있어야 진정 고민하는 부모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아이가 어려서, 겪어본 세월이 짧아서 이렇게 당당하게 말할 있는 걸까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