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어원의 일본어 단어
한창화 지음 / 좋은땅 / 202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우선 책 제목을 보고 흥미로웠다.

왜냐하면 여태까지 우리말 대부분이 일본어 어원이 많다고 알고 있었다.

우리가 실생활에서 일본어 단어들을 그대로 사용하는 말들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그 반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언어의 공통점은 어순이 같으며 한자를 사용한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보면 일본 열도와 가장 가까운 한반도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일본으로 건너갔다.

저자는 일본 포털사이트에서 어원을 검색하고 일본어 고어사전과 비교 검토하여 이 책을 출간하였다.

일본어의 발음 수는 300개에 불과하지만, 우리말의 실제 발음 수는 1,096개로 일본어보다 몇 배나 많다.

그렇기 때문에 발음수가 적은 언어 쪽에서 발음수가 많은 언어를 도입하여 표기할 때는 본래의 발음을 충분히 표기하지 못하고 약간의 변형이 일어났다.



서문을 넘기면 일본어 상용한자(2,316) 훈독 단어 하나하나를 분석하여 우리말과의 연관성을 따져본다.

책에는 총 511개의 단어가 나오며, 누구나 알기 쉽게 상세히 설명이 적혀 있다.

처음에는 이 두꺼운 책의 내용이 조금 지루했지만 읽는 내내 우리말 어원이 일본어로 바뀐 걸 확인하니 신기하면서 흥미로웠다.

외국어 공부를 할 때는 단어 공부는 필수이며 늘 무작정 외우기에 급급했지만

이 책을 통해서 우리말 어원이 일본어 단어로 바뀌는 걸 알아가면서 머릿속에 더 오래 기억이 남을 것 같다.



중간중간 단어뿐만 아니라,

쉬어가는 곳이라는 테마를 통해 일본어를 더 재밌게 공부할 수 있다.

의성어와 의태어는 반복적인 단어와 비슷한 단어로 외우기가 상당히 힘들며 돌아서면 금방 잊어버리게 된다.

하지만 그림과 설명을 보니 머릿속에 남아있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 지루하고 막막하기만 했던 일본어 단어 공부를 보다 쉽고 재밌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자가 말하는 대로 다른 일본어 단어를 접할 때에도 스스로 응용하는 힘을 길러 학습의 즐거움과 함께 능률도 한껏 올리는 것도 가능할 것 같다.

단순 암기가 아닌 이해하면서 재밌게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책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