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모으는 습관 - 보통사람이 흔들림 없이 차곡차곡 큰돈을 모으는 법
요코야마 미쓰아키 지음, 조사연 옮김 / 아름다운사람들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90일 완성 돈 버는 평생 습관>의 저자인 요코야마 미쓰야키의 신작을 읽게 되었다.


첫 장을 펼치니 돈을 모으고 불리는 방법은 사실 매우 간단하다고 한다.

1. 수입 – 지출 = 저축

2. 저축 일부를 차곡차곡 투자로 운용

이렇게 간단하지만, 왜 힘들까?

1. 수입(매달 일정하다) – 지출(액수는 모르지만 나가고 있다) = 저축(모조리 써버려 남는 돈이 없다. 또는 돈이 모자라다)

2. 저축이 없으니 일부를 차곡차곡 투자로 운용할 수 없다.

돈이 모이는 구조는 바로 ‘미니멀’과 ‘기록’.

목차만 봐도 당장이라도 돈이 모일 것만 같다. ^^

제1장 지출을 시각화해야 돈이 모인다.

제2장 지갑이 작아야 돈이 모인다.

제3장 기록하면, 돈이 모이는 ‘저축 노트’

제4장 효과는 즉시! 돈이 모이는 정리 습관

각 장마다 내용이 나와 있고 마지막에 짧게 정리가 되어있어 더 머릿속에 남는다.


책을 읽는 동안 뜨끔한 내용들이 가득했다.

결제하기 전 스스로에게 ‘필요해서 사는가?’, ‘그냥 갖고 싶어서 사는가?’라고 자문해 보면 깜짝 놀랄 때가 많다.


밥을 먹고 후식으로 프랜차이즈에서 사 먹는 커피

입이 심심하면 들리게 되는 편의점

스트레스 받으면 사 먹는 디저트

귀찮아서 시켜 먹는 배달음식

월급을 받았으니 기분전환 겸 나를 위해 사는 소비



이러한 사소한 습관들만 고쳐도 적게는 한 달에 30만원은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무조건 절약하는 것도 좋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이를테면 자기개발 차원에서 자격증을 따 커리어를 업그레이드 하기도 하고,

매일 수고하는 자신과 가족을 위해 여행이나 식사를 계획하기도 하는 등 발전적인 미래를 위해 투자하는 형태로 활용하는건 어떨까?


돈을 모으려면, 돈을 쓴 뒤 가계부에 기록하여 시각화를 해야 한다.

지출을 기록해 ‘시각화’ 하기 전에는 ‘전부 필요한 지출’ 인줄 알았는데 사실은 낭비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지출 검증 후 줄일 항목, 유지할 항목을 명확히 나눠 강약을 조절하며 재무 상태를 개선해 간다면 언젠가 돈은 쌓일것이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