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사춘기 엄마를 이기는 아이가 세상을 이긴다
김선호 지음 / 길벗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초등사춘기

엄마를 이기는 아이가

세상을 이긴다

 

 

중학생 , 초등학생 아이

사춘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나이라,

궁금함에 읽어보게 된 책입니다.

<엄마를 이기는 아이가 세상을 이긴다>

제목이 재밌어서, 더 관심이 가는 책이였습니다.

 

학교에서 아이들과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은 선생님께서

쓴 책이라 읽는 내내 더 꼼꼼하게 읽어보게 되고,

공감과 새로운 사실들을 깨닫게 되는 시간이였습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우리 아이가 사춘기가 시작되었음을 감지하는 순간은!!

바로 '말대꾸'가 많아지고, 말수도 적어지고,

방문 닫고 들어가기

대답이 많이 짧아지는 그런 시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머리로는 사춘기니까...

그래..이해해보자.. 말대꾸가 아니라 대답을 그렇게 한거겠지..

이렇게 좋게 좋게 생각하려고 해도,

욱...하는 마음을 좀처럼 가라 앉히기 쉽지 않을 때가 많은데요.

사춘기를 시작하는 초등학생에게 접근하는 방법이

우선은 '바라봄'이라고 합니다.

누군가를 바라봐준다는 것은 간섭하는 것과는 다르고,

일정 거리를 두고 기다려주는 것입니다.

 

간섭이 아닌 바라본다..

참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입니다.

 

<나는 아이들을 편애한다>

초등학생들은 욕심쟁이지만 단순해서,

내가 동생보다 더 많은 사랑을 받는다고 생각되면,

어느 순간 스스로 동생을 챙기기 시작하고,

동생은 형보다 자기다 더 예쁨받는다고 생각되면

어느 순간 스스로 동생을 챙기기 시작한다는 내용은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더라구요.

엄마한테 유일한 최고의 존재가 되었다고 느낀 순간

아량이 생기고 베풀기 시작한다고 하니,

아이 둘에게 각자가 최고의 사랑을 받고

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절친과 왕따는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

절친이나 왕따는 전혀 반대나 별개가 아니다.

공통점이 있는데,

절친은 구속하는 것이고

왕따는 배제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초등학교 여학생들의 친구관계

는 예민한 부분이 많더라구요.

잘 삐치기도 하고 서운해하기도 하고...

아이 얘기를 듣다보면 너무 어렵다..는

생각이 자주 들었답니다.

여학생들에게 '절친'이라는 단어가 남학생들보다

더 자주 등장하는것 같은데,

절친이나 왕따가 별개가 아닌 공통점이 있다는 사실에

또 한번 놀라게 됩니다.

 

선생님의 학교생활에서

아이들과 대화나 일어난 일들이

재미있게 쓰여있어서,

더 재밌게 읽을 수 있었던 책이였습니다.

아이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며 관찰한 선생님이 직접 쓴 글이,

제가 잘 몰랐던 아이들의 행동이나 심리등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서,

많은 도움이 된 책이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