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잘하는 환경은 따로 있습니다 - '수학 좋아하는 아이'를 만드는 학습환경의 힘!
천지민 지음 / 해뜰서가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학'에 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우리 사회 특히 아이들 사이에서 '수포자'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사용되고 있는 현실 속..


많은 부모님들은 우리 아이가

수학을 좋아하고 잘했으면 하는 생각을

가지고 계실 것 같아요.


저 역시 같은 마음이고,

다른 과목들보다 수학의 난이도가 학년을 더할수록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과

지금부터 차근차근 잘 다져놓아야 한다고 생각하죠.


<수학 잘하는 환경은 따로 있습니다>의 저자

천지민 선생님은 대치동과 분당 등 교육 특구에서

24년동안 수학교육 전문가로 지내면서


아이들이 정말 수학을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이런 부분들을 모두 책에 담았더라구요.


저자는 수학에서 "성공경험"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어요.

아이가 성공경험을 쌓을 수 있는

학습환경 조성이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이것은 아이의 능력에 맞는 문제를 풀도록 하여

아이가 흥미를 느끼고 아이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칭찬을 많이 하는 것이 

기반이 되어야 합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성공경험이 쌓이면 아이는 내가 정말 수학을 잘할 수 있구나라는

자신감, 성취감이 생겨서 앞으로도 계속 수학을 잘하고 싶어서

적극적으로 노력하게 되는 것이지요.^^


저도 이 부분을 잘 알고 있고

저희 아이들에게도 적용하려고 노력중인데

참 쉽지 않더라구요.


방금 설명해주고 알겠다고 고개를 끄덕였는데

다시 풀어보라고 했을 때 전혀 모르쇠일때~

칭찬만 해줄 수 있는 환경이 아닐 때도 많지만..!!


아이의 수학정서가 긍정적인 것이

지금 한문제 더 잘 푸는 것보다 훨씬 중요한 것이니

부모님들은 잘 기억해야 할 것 같아요~


그리고 저자는 수학 잘 하는 환경을 이야기하다가

"책읽기가 행복하면 수학도 행복해진다"라는 이야기를 합니다.

이 말도 격하게 공감을 했지요.

 

아이들이 수학적 능력이 부족해 문제를 못 푸는게

아니라 수학 문제를 이해를 못해 못 푼다는 사실..

코로나를 겪으면서 비대면 활동이 많아지고

디지털 시대로 변화되어 직접 종이책을 읽고

연필로 글자를 써야하는 활동들이

많이 사라진 게 사실이죠..


이 피해를 아이들이 고스란히

받아들여야 하는 것 같아 참 안타까운 부분이에요.


문해력이란 말은 요즘 많이 들을 수 있는데요.

혹시 "수해력"도 들어보셨나요?

수해력

내용에 들어있는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그에 맞게 수식을 만드는 능력

이라고 합니다.


아이들이 결국 수학을 잘하기 위해서는

책을 많이 읽고 생각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야

수해력이 발전할 수 있는 것이지요~


이 외에도 <수학 잘하는 환경은 따로 있습니다>에서는 수학 학원이나 과외 등

사교육 기관에 아이를 보낼 시 챙겨봐야 할 것,

수학 심화 학습 잘하는 방법

미취학부터 고3까지 나이별 수학 학습 전략 등

아이들이 수학을 좋아하고 잘하기 위해서

부모님들이 어떤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할지

모든 정보들을 꼼꼼하게 다 담겨있는

<수학 잘하는 환경은 따로 있습니다>


수학 학습이 제 관심분야이기도 하지만

가독성이 좋아서 앉은채로 쭉쭉 읽어내려갔고

수학 전문가이자 교육 전문가로 해주시는

찐 조언들이 정말 감격스러워

소장해서 다시 읽고 또 읽어 볼 책으로

감히 추천해봅니다..!!


<수학 잘하는 환경은 따로 있습니다>를 읽고

아이의 학습환경이 달라지고..

우리 아이가 수학을 좋아하는 아이가 된다면

이보다 더 좋을 순 없겠지요?

어서 읽어보셔야 합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