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마코스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최명관 옮김 / 서광사 / 1990년 7월
평점 :
절판


세계를 단일한 일자로 보았던 파르메니데스에 이어 현실세계를 부정적으로 보고 이데아의 세계를 끝도없이 추구해갔던 플라톤까지 허공 위에 집을 짓던 그리스 철학을 발 밑으로 끌어당긴 철학자, 나는 아리스토텔레스를 이렇게 바라보았다. 언제나 시대적 흐름에 슬쩍 비껴나버린 철학자들에 나는 매력을 느끼고는 하는데, 그 배경만 알고 있는 스피노자가 그러하다. 내 인상 속의 그는 근대에 속하면서도 근대를 넘어선 철학자다. 마찬가지로 나는 아리스토텔레스에 관해서도 적잖이 환상을 품고 있었는데, 소크라테스-플라톤의 계보를 잇는 철학자이면서도 플라톤에 반하는 이론을 많이 내세웠다고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실재하는 세계를 인정하려 했던 현실주의자 아리스토텔레스가 더욱 맘에 들었다.

그는 절제, 용기, 우애 등과 같은 중용의 덕을 추구해가는 과정 속에서 인간이 자신에게 숨겨진 가능성을 무한대로 넓혀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실천을 우리에게로 끌어당기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신적인 행복은 이성적인 관조만을 통해 느낄 수 있지만 인간적인 행복은 현실에서 중용을 통해 습득하는 것이라고 보았는데 궁극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가 추구하려 했던 것은 신적인 행복이었으나, 인간 생활 속에서의 실천을 통해서 그는 상승기류를 타려고 했던 것 같다. 그러나 중용의 덕을 내세우며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행복을 추구하려 했고, 인간 사회에 보편적 윤리를 뿌리내리려 한 그는 너무 뚱뚱하고 거대한 물체를 맞지 않는 틀 속에 억지로 집어넣으려 한 인상을 풍긴다.

한 예로 쾌락과 고통에 대한 그의 사고를 잠시 엿보자. 그는 쾌락과 고통을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누고 고통은 덮어놓고 피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 반면 쾌락은 추구해갈 만한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육체적인 쾌락은 짐승과 어린아이들이 추구하는 것이며 절제있는 사람은 그런 쾌락은 피하며 자기 나름으로 쾌락을 추구해간다고 한다.* 또한 육체적인 쾌락은 흔히 고통을 피하기 위한 쾌락이며 고통을 잊기 위해서라도 그 정도는 강렬해진다. 때문에 지나침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고통과 관계없는 쾌락에는 지나침이 없다고 한다. 이것이 신이 추구하는 단순하고 쾌적한 쾌락이며, 우리가 추구해가야 할 바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물론 그가 육체적인 쾌락에 있어서도 쾌락 그 자체가 나쁜 것이 아니라 정도가 지나친 것이 나쁜 것이라고 한 것***에는 내 삶의 태도를 다시 돌아보게 만들면서 공감이 갔지만, 다른 면에 있어서는 그렇지 못하다.

윤리학이라는 것이 세계를 설명해내려 하기보다 그 속에서 살아가는 방식을 제시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해도, 때문에 낱낱의 변수들과 특수한 상황들을 다 감지해내지 못한다 해도, 그의 생각은 너무 단순한 것이 아닌가 한다. 고통만 해도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것은 수천가지가 아닌가? 유토피아에서 상처의 문제를 다루었을 때에도, 그 관점은 가지가지였다. 고통과 더불어 살아간다는 것, 그것은 고통을 덮어놓고 피하는 것이 아니라 내 삶의 일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자는 관점도 있을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말마따나 인생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생의 목적이라고 해도 그 행복관은 저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장정일의 <내게 거짓말을 해봐>에서 나오는 새도 매저키즘을 인정하는 것도, 근대로 들어서면서부터는 집단 수용소 안에 갇힌 광기를 새로이 정의내리는 것도,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 안에서는 택도 없는 일일 게다.

그는 결국 에우리피데스가 '어떤 의미에서 변화는 달콤한 것'이라고 읊은 것을 정면으로 악덕이라 부정한다. 그가 변화하는 현실 세계를 끌어들이려 한 것은 변화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실천 속에서의 가능성을 엿보자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행복추구라는 목적 속에 묶어두려 함은 아닌지. 그리하여 니코마코스의 아비가 써낸 윤리학은 오늘날에 있어 어쩌면 영원한 불시착!

*<니코마코스 윤리학> p223, 아리스토텔레스, 서광사, 2001
**p227~228
***226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