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쓸수록 선명해진다 - 내 안의 답을 찾아 종이 위로 꺼내는 탐험하는 글쓰기의 힘
앨리슨 존스 지음, 진정성 옮김 / 프런트페이지 / 2025년 1월
평점 :
예전에 <아티스트 웨이>를 읽고 1년이 넘게 매일 새벽, 모닝페이지를 적은 적이 있어요. 여러 권의 노트들이 그 흔적들이죠. 그러다 쓰는 간격이 늘어나고, 이제는 아주 간헐적으로 쓰고 있어요.
새벽에 일어나 간단한 아침 의식을 가지고 책상에 앉아 모닝페이지를 쓰는 그 행위는 하루를 시작하는 나에게 큰 힘이 되었었어요. 좋은 걸 아는데, 쓰기가 간헐적이 된 이유는 매일 새벽 혼자 고요한 시간을 갖기가 조금씩 어려워졌었거든요. 수면의 중요성을 몸소 느끼며 취침이 늦은 날에는 기상도 늦어졌어요.
사실, 핑계죠. 아무튼, 요즘도 가끔 그렇게 노트를 펴고 쓰는 중입니다. 그런데 조금 더 캐쥬얼한 글쓰기 방법을 책 <쓸수록 선명해진다>에서 만났어요.
이 책은 6분간의 전력질주 탐험쓰기라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줍니다. 하루에 딱 6분, 못 낼 이유가 없죠.
그럼 6분간 뭘 써야 하는가?
저자는 친절한 가이드를 알려줍니다. 탐험쓰기라 표현하는 글쓰기를 위한 마음가짐, 준비물도 알려주고, 무엇부터 쓸 것인지, 어떻게 쓸 것인지를 차근차근 알려줘요. 그래서 흰 종이가 막막한 사람도 펜을 들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계속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진다. 탐험쓰기는 이런 질문을 가시화해서 더 현명한 질문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생각이 의미 없이 머릿속을 맴돌 때, 일단 괜찮은 질문을 적으면 본능적으로 탐험쓰기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럼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할까요? 걱정마세요. 저자는 질문의 가이드도 알려줍니다.
재미있는 가이드 하나를 알려줄게요.
우리는 때때로 어느 분야에서 나보다 나은 이의 코칭을 받길 원하죠. 탐험쓰기를 통해 그 코칭도 받을 수 있어요.
어떻게?
바로 ‘미래의 나’라는 멘토에게요.
‘미래의 나’라면 어떨까? 미래의 나는 이미 이 문제를 해결한 경험이 있다. 이제 어떻게 해결했는지 물어보기만 하면 된다.
미래의 내가 해주는 코칭, 재미있을 것 같지 않나요?
저는 이 책을 읽으며 출판사에서 진행하는 <탐험쓰기 챌린지>에 참여했었어요. 주중 5일, 2주간 총 10일 동안 올려주는 첫 문장에 맞춰 6분간 집중 글쓰기를 하고 인증하는 것이었어요.
첫 문장이 있으니 쓰기는 훨씬 수월하고, 6분이란 시간 제약이 있으니 좀 더 집중할 수 있었어요. 7일쯤에 책 제목의 의미를 체감할 수 있었어요. 더욱 선명해지는 나를 만날 수 있었죠.
탐험쓰기는 효과적인 사고를 넘어 멋지게 이야기하는 능력으로 이어져요. 나의 고민에서 시작해 소통을 위한 준비 단계로도 활용이 가능한 것이죠.
머릿속의 복잡한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며 답없는 답을 찾고 있는 이라면, 이 책을 꼭 읽어보시길 바래요.
곧 선명한 무엇을 만날 수 있을거예요.
-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솔직히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