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살 것인가 - 우리가 살고 싶은 곳의 기준을 바꾸다
유현준 지음 / 을유문화사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겉모습이 본질을 언제나 반영하는 건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형태에는 어떤 선언적 효과는 있는 것 같다. 형태에 맞추어 그 안에 담기는 내용도 변화를 시작하기도 하니까.
.
이 책의 저자는 알쓸신잡2에 출연한 유현준 교수. 그는 학교가 지금보다는 훨씬 더 새로운 형태로 만들어져도 좋겠다고 이야기한다. 스머프 마을처럼. 지금의 학교는 교도소와 다름 없으므로. (책에는 교도소와 학교를 나란히 찍어놓은 사진이 있는데 너무 닮은 모습이 경악스럽다ㅠ) 저자는 네모난 건물이 층층이 쌓여 있는 형태가 아니라 저층화 단절화된 모습을 새로운 학교로 제안한다.  단층으로 된 여러 개의 건물로 이루어진 학교. 잔디밭과 연못과 마당이 곳곳에 있는 학교. .
.
의식주는 삶의 중요한 요소다. 이들의 우선순위를 정하기는 어렵겠으나 '어디서 살 것인가'에 답을 내리고 나면 먹는 것과 입는 것이 많이 달라진다. 건축은 단지 건물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그 공간 안에 사는 자연과 사람을 모두 포함하니까. 유현준 교수의 책이 재미있는 이유는 단지 건물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건축과 이어진 사람과 자연 그리고 관계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
전작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를 읽은 게 바로 얼마 전이었다. 그런데도 비슷하다는 느낌은 별로 받지 못했다. 책 날개에 있는 저자 소개에는 교수와 건축사 이 두 가지가 적혀 있다. 아마 이론을 다루면서도 여전히 실제를 구현하는 사람이 쓸 수 있는 글이 이런 형태이지 않을까. 자신의 프레임으로 바라본 것과 경험한 것을 지속적으로 담아내는 글쓰기. (책 속에는 학교 뿐 아니라 기업의 사옥, 건축과 권력, 멀티플렉스와 SNS 등 다양한 화두가 있다.)
.
새로웠던 건 DDP와 서울 시청 신청사에 대한 관점. 건축을 하는 사람에게도 건축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도 논란이 되는 건물. 저자는 "왜 건축은 과거의 이야기를 항상 수긍하고 듣기만 해야 하느냐"고 말한다. "다소 거칠더라도" "신축 건물은 '때로는' 주변 컨텍스트와 다른 이야기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예스맨'의 건축만으로는 도시에 발전이 없다고." .
.
지난 번 책을 읽고 나서는 걷고 싶은 길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번 책을 읽고 난 뒤에는 다양한 경험과 추억을 만들 수 있는 학교가 많이 (그게 어렵다면 단 한 개라도) 생겼으면 하는 바람이 들었다. 그런데 그냥 바라는 게 아니라 나도 무엇인가를 실천해야겠다는 생각도 같이 든다. 건축은 결국 그 안에 사는 사람이 만드는 것이라는 책임감 비슷한 게 들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