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 민음사 모던 클래식 58
모옌 지음, 심규호.유소영 옮김 / 민음사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내가 살아온 이야기를 글로 쓰면 소설 몇 권은 되고도 남는다는 할머니들을 가끔 본다. 하지만 한발 더 나아가 소설이 아니라 역사가 되는 경우도 있다. 그것도 나라의 역사 말이다. 「토지」(박경리/ 마로니에북스)의 최서희처럼, 노벨 문학상을 받은 중국 작가 모옌이 쓴「개구리」의 주인공 ‘완신’도 그렇다.


 완신은 1937년생으로 팔로군 군의관 아버지 덕분에 의학 공부를 해 17살에 산부인과 의사가 됐다. 공산당 당원이었고 미인으로 대범한 성격까지 고향 마을인 산둥성 가오미 현의 자랑이었으나 약혼자가 타이완으로 망명하는 바람에 고초를 겪었다. 완신의 운명은 1971년 중국의 한 자녀 국가정책 ‘계획생육’이 시작되면서 격렬해졌다. 개인보다 국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 완신은 적극적인 임무 수행으로 마치 전쟁을 치르듯 법을 어긴 임산부를 찾아내고 중절 수술을 감행했다, 그녀는 2,800여 명에 이르는 아기를 세상에 나오지 못하게 했다.


 완신은 실제로 지은이 고모다, 소설의 배경인 가오미 현은 둘의 고향이다. 지은이는 1980년대부터 고모에 대한 소설을 쓰겠다고 마음먹었으나 산부인과 의사인 고모 얘기에 빠질 수 없는 ‘계획생육’에 대한 고민으로 망설였다고 한다. 계획생육은 인구를 계획적으로 조절한다는 뜻으로 문명사회에서는 필요한 일이지만, 중국의 수많은 가정에 고통을 주었고 서방 국가에서도 비난을 받고 있는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은이는 고모가 주인공인 '사람이야기'를 소설로 쓰고 구성은 편지와 극본으로 정했다.


 모두 네 통의 편지는 무척 길다. 화자인 ‘나’는 따옴표 없이 말을 하듯이 술술 그러나 상세하게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고향 사람들과 고모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러다 이야기는 ‘나’가 50대로 접어든다. 그새 고향은 변했다, 먹을 게 없어 석탄도 갉아 먹던 시절에서 시장에는 신기한 채소와 과일들이 오색찬란한 색깔을 뽐내고 있다. 완신 고모도 변했다. 아이 울음소리를 닮은 개구리를 무서워하고 자신이 죽음으로 몰고 갔던 엄마와 아기들에게 죄책감을 느끼게 됐다. 자신을 위로하기 위해 점토로 인형을 만들고 그들을 위해 축원을 하는 일이 70살이 넘은 고모와 고모부가 요즈음 하는 일이다.


 중국의 유명한 영화감독 장이머우가 최근 중국 정부에 벌금 13억 원을 냈다. 바로 한 자녀 정책을 어겼기 때문. 2남 1녀를 둔 그가 낼 벌금을 416억 원이라고 계산한 사람도 있다니 정책의 위력을 실감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렇듯「개구리」는 소설로만 읽기에는 벅찬 부분도 있다. 때로 누군가를 판단하고 싶은 마음도 굴뚝같다. 사실상 이야기 결말인 극본에서도 벌을 받거나 책임을 지는 사람이 없으니 답답한 마음은 더욱 가중될 수 있다. 옮긴이는 지은이를 ‘야성과 광기의 이야기꾼’이라 칭하며 “소설은 인성을 묘사할 뿐이며 감정을 묘사해야만 더욱 풍부해지고 영향 또한 오래 지속될 수 있다.”는 지은이 말을 전했다. 내게 지은이는 천재적인 이야기꾼이다. 소설이니 ‘사람’만 보는 일로 만족해야 할까 아니면 사람과 관련된 무엇에 대한 생각을 더 해야 할까 망설일 때 “인생 최대의 즐거움은 바로 자신의 유전자를 가진 생명이 탄생하는 거야. 그 아이가 태어난다는 건 네 생명이 계속해서 이어진다는 거잖아.”(399쪽)가 생각났다. 오랫동안 기억될 말과 함께 사람과, 사람과 관련된 생각은 좀 묵혀야겠다. 아주 긴 편지를 읽느라 힘도 빠졌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