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미래 - 라다크로부터 배운다, 개정증보판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지음, 김태언 외 옮김 / 녹색평론사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라다크는 우리 나라 백두산보다 높은 곳에 있다.(책을 읽으면서 단위가 낯설어 개념이 얼른 들어오지 않았다. 단위를 우리에게 익숙한 평이나 미터로 바꾸니까 감이 잡힌다. 이런 번역은 좋은 번역이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더라도 친절한 번역이 아닌 것만은 분명하다.) 아마도 라다크는 지구상에 있는 여러 '전통 사회'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대체로 전통 사회는 미개하고 가난하고 문명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 속에 사는 사람들이 행복할 것이라고 여겨지지도 않는다.

그에 견주어 문명 사회는 풍족한 물질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자동차는 빠른 이동을 보장하고 텔레비전은 지구상의 어느 지역의 소식이든 알려 주며, 전화는 어떤 사람과도 통화를 할 수 있게 해 준다. 더구나 컴퓨터는 인간의 노동을 최소한으로 줄여 주고 마음껏 즐길 수 있는 여가 시간을 보장해 주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 바로 과학 기술의 발전과 경제 개발이다.

비록 환경 오염이라는 반갑지 않은 부산물과 자원 고갈의 위험 때문에 조금 걱정이 되긴 하지만 그래도 이런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과학 기술이 머지않은 장래에 과학자들의 머릿속에서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심이 된다. 그러니 자손들의 문제는 앞날의 과학자들에게 맡기고 우리는 현대 문명의 혜택을 마음껏 누리면 될 것 같다.

그런데 헬레나 노르베리-호지가 알려 주는 라다크 사람들의 생활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행복한 것 같다. 농사도 짓기 힘든 높은 산지에서 사느라 제대로 입지도 먹지도 못하면서도 잘먹고 잘사는 우리보다 행복하다면 이상하지 않은가. 전통 사회를 지나치게 미화한 것은 아닐까.

전통 사회는 개발 대상일 뿐 배움의 대상은 아니라고 생각하기 쉽다. 설사 전통 사회를 미화하고 찬양한다고 하더라도 당장 그쪽으로 돌아갈 생각을 품기란 쉽지 않다. 마치 천당을 부르짖는 기독교인한테 지금 바로 천당에 갈 생각이 없느냐고 물으면 고개를 흔들듯이, 아무리 전통 사회가 아름다워 보여도 온갖 편리한 소비 문화에 익숙한 우리가 자동차와 냉장고와 정수기와 세탁기와 보일러를 버리고, 우물에 가서 물 긷고 개울가에 가서 빨래하고 산에 가서 나무 해다 때는 생활로 돌아갈 수가 있겠는가.

더구나 그렇게 좋다는 라다크조차 현대식 개발의 결과로 망가지고 있다지 않는가. 그렇다면 라다크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워야 할까. 라다크는 우리가 가야 할 길을 보여 주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우리가 라다크를 본보기로 우리가 살아갈 터전을 만들 수는 없다. 지난날 우리가 살아왔던 방식으로 돌아갈까? 그러나 우리는 우리가 지나온 다리를 끊어 버려서 돌아갈 수도 없다. 그렇다면 라다크에서 배워야 할 것은 무엇일까. 그건 달라이 라마의 말 '개발과 배움이 오직 한 가지 방향으로만 일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물질과 영혼을 맞바꾸어선 안 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