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설공주 이야기 흑설공주
바바라 G. 워커 지음, 박혜란 옮김 / 뜨인돌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도 '백설공주'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어린시절 누구나 한번 쯤은 읽어 보았을 터 이니깐.

지금에 와서 가만히 생각해보니 어린시절 우리가 읽었던 대부분의 동화책 내용들을 보면 그 속의 주인공 여자들은 모두 미인이었고, 또 남자에 의해서 인생이 바뀌는 수동적이고 순종적인 인물들이었다. 결국 이런 내용의 책들은 어린이들에게 아무런 반항없이 무비판적으로 그대로 흡수되어서, 오늘날 우리사회의 여성에 대한 편견, 여성을 바라보는 잘못된 시각, 사회 풍조 등으로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다.

단적인 예로 우리는 콩쥐하면 아주 예쁘고 착한 아이를 떠올리고, 팥쥐하면 못생기고 성질이 나쁜 아이로 생각한다. 백설공주하면 피부가 백옥같이 희고 아름답고,계모인 왕비하면 아주 못생기고 못된 사람으로 이렇게 일종의 '세뇌'를 당해 왔다. 이것이 우리 모두가 알고있는 일반적인 '공식'인 것이다.

이 모든 것들은 결국 남성 우월주의 사상, 남자중심의 사회가 만들어 낸 그릇된 여성상 인 것이다. 그들은 강한 여성의 등장을 두려워했고, 자신들의 지위를 확고히 지키기 위해 책 속에서조차 여성들의 능력, 모험등을 철저히 봉쇄하고, 여자는 그저 얼굴만 예쁘면 속된 말로 '장땡'이라는 사상을 사회 깊숙이 특히나 여자들의 머리 깊숙이 뿌리 박히게 만들었던 것이다.

그런의미에서 '흑설공주'는 여성들에게 사고의 전환을 가져다 줌과 동시에 '여성해방'의 선봉자라 할 수 있겠다. 이 책은 동화책에서조차도 '남성위주'였던 그래서 여성의 성장과 능력, 모험, 기회를 결코 인정하고 싶지도, 인정하지도 않았던 이야기들을 좀 더 사실성 있게, 진실은 '이것'이었을 성 싶은 그 '이것'을 아주 예리하고 통찰력 깊게 쓰고 있다. 이 땅의 여성들을 위해, 페미니즘의 실현을 위해, 그동안 책에서 조차 권리와 기회를 박탈당했던 이 땅의 모든 딸들에게 이 책을 적극 권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