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만의 방 새움 세계문학
버지니아 울프 지음, 여지희 옮김 / 새움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버지니아 울프의 섬세한 관찰과 날카로운 분석, 그리고 그의 진심과 통찰>

20세기 작품. ‘여성과 픽션’이라는 주제를 다룬, 강연문에 기초한 에세이이다. 그 당시의 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이 줄줄이 나온다. 지금보다 훨씬 가부장적이었을 그 시대에 이런 이야기를 한다는 건 엄청난 용기가 필요한 일이었을 터. 글은 날카롭기도, 섬세하기도, 단호하기도 한데.. 그 속에서 여성이 주체적으로 살 수 있길 바라는 절실함도 느껴졌다.

울프만의 날카로운 지적, 그리고 그의 단호함이 나타나는 문장에 유독 밑줄을 많이 그었다. 사실, 버지니아 울프처럼 일상 속에서 보고, 읽고, 들은 것에 대해 깊이, 섬세하게 생각한다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다. 그 자체가 어려운데도, 그의 의식의 흐름과 사유의 지점들을 접할 때마다 ‘이 지점에서 또 이런 관찰을 하는구나.’라는 놀라움을 넘어서 ‘여기서 어떻게 이런 의문을 제기했을까?’, ‘어떻게 이런 이면을 보았을까?’라는 감탄을 하게 된다.

그는 인간이 인간으로서 활기 넘치는 삶(자유롭고 창조적인 삶)살기 위해선 ‘자기만의 방’, 그리고 ‘돈’, 이 두 가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그 조건을 갖기 힘들었던 구조였으니, 버지니아 울프는 더욱더 여성에게 이 메시지가 가닿길 바랐을 것이다. 그는 부르주아 취향을 가질 수 있는 환경에서 자랐고, 충분히 건전한 사유를 할 수 있는 여성이었다. 그랬으니, 100년 전에 이미, 이 최소의 조건을 갖도록 노력하라고 권할 수 있었겠지.

버지니아 울프가 지금의 우리를 보면 뭐라고 말할까. 안타까워할까. 100년이 지나도,, 우리는 자기 자신을 잃지 않기 위해, 그리고 무너지지 않기 위해 ‘자기만의 방’과 ‘돈’을 갖도록 부단히 노력할 수밖에 없다. 최소의 조건이 아닌, 최대의 조건이 되어버린 것 마냥.

그의 의식의 흐름이 생소하고도 놀라웠던지라,, 초반부에 읽어나가기가 다소 힘들긴 했지만, 100년 전에 쓰인 작품임을 알고 읽으면, 더욱더 매력이 넘치는, 그런 책이다.


<어느 나라였건, 어떤 환경이었건, 여자라는 이유로 얽매이지 말자고. 무시당하지도, 위협당하지도 말고.>


만약 제가 과거의 여성에 대한 진실을 파악할 수 없다면, 뭐 하러 귀찮게 미래의 여성에 대해 고민하는 건가요? (50p)

남성들이 말하고 쓴, 지어진 여성이 아닌, 정말 실재(제)의 여성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버지니아 울프. 과거로부터 훑어서, 미래까지 바라보았다. 옛날에 비해 여성의 지위는 나아졌지만, 그래도 아직은 멀었다. (남성 중심의) 왜곡된 성문화와 여성 혐오는 100년이 지난 후에도 (이렇게) 남아있으니까.

나는 노인분들을 대상으로 일을 하고 있다. 할머니, 할아버지.. 여남 불문하고 상대하고 있는데, 어떨 때가 제일 씁쓸하냐면, 할머니들의 삶의 대부분을 이루는 일들이 거의 획일화되어있다는 점이다. 그러니까, 저마다 각자의 집안 환경에 따라 삶의 모양이 조금씩 다를지라도, 큰 틀에서 보자면 '여자'라는 이유로 희생을 치르러야 했다. 공부를 하지 못했고, 위에서 짝지어주는 대로 시집을 가야 했고, 가족을 위한 뒷바라지만 해야 했다. 물론, 폭력을 당하기도... 삶의 주도권이 없었다.

전통사회에서 여성으로서 외출도 자유롭게 할 수 없었고, 복종과 인내만을 배워야 했던 것은 변함없는 진실이다. 이렇게 살아야만 했던 여성이 전통사회로부터 해방될 수 있었던 시기가 바로 '현모양처' 사상이 전개되면서 부터고. 하지만, 그 사상 또한 여자에겐 여전한 족쇄였다.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을 제한해서 그걸 이용한 것. 이젠 제발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다.

여성의 삶을 일반화하고자 꺼낸 얘기는 아니다. 나는 버지니아 울프의 이야기를 들으며 그와 연결되고 싶었다. 그래서 내 경험과 생각이 빚어낸, 픽션과 논픽션의 줄다리기 속 내가 지금 이 순간에 얘기할 수 있는 이야기를 의식의 흐름대로 적어보고 싶었다.

여자의 입장에 대해서만 얘기한다고 불편해할 사람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불편해도 할 수 없다. 나는 앞으로도 계속 여자의 입장에서 말하고 싶다. 특히, 여성 작가가 쓴 작품이라면 더욱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