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리와 리즈의 서울 지하철 여행기
찰리 어셔 지음, 리즈 아델 그뢰쉔 사진, 공보경 옮김 / 서울셀렉션 / 2014년 4월
평점 :
품절


서울 지하철 곳곳을 여행한 외국인들의 지하철 여행서다.

지하철 곳곳을 여행하다?


한국인이 서울 지하철역을 내려 곳곳을 여행한 여행서적이라 하면 보다가도 덮어버릴 이야기겠지만,

외국인이 본 한국의 중심지 서울중 지하철 곳곳을 여행한 서적이라 하니, 읽고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그리고 여느 여행서적과도 동일할테지만, 적절한 그림이나 사진이 있을것은 당연했기에 읽는내내 지루하지 않게 읽혔다.


특히 각 역마다의 특색을 한국인보다 더 정확하게 알고 있는것 같아 놀라웠다.


동대문이 생긴 역사를 길지 않게 담아내었고, 곳곳의 풍경과 사람들의 이미지를 실어 놓아 부담되지 않게 편안하게 읽혔다.


조금 아쉬운점이 있다면 사진을 조금 더 넣었으면 좋았을것 같다는 정도..


미국인 찰리와 리즈가 서울 각 역에 대한 느낌을 속속들이 담아놓아서 외국인에게 비친 한국의 대표도시 서울에 대한 이미지를 알수 있는 시간이었고, 나도 몰랐던 역(녹사평역-미군기지가 있는곳) 에 대한 정보를 함께 알수 있어서 좋았다.


예전에 한때 정말 하릴없이 공원을 거닐다 문득 갈곳이 없을때 친구와 함께 지하철역 아무데나 내려서 구경하고 올까?라고 했던 기억이 있다.

대한민국의 땅덩이가 좁다고는 하나, 생활에 치여 시간에 치여 같은 서울권도 가보지 못한 역이나 지역이 많다.

이참에 이책을 통해 짧지만 좋은 정보를 얻었으니 , 가보지 못한 역이나 지역을 한번 둘러볼 참이다.


-----[본문 중에서]------


녹사평역은 외국인들이 많이 모여사는 곳으로 알려져있는 만큼 거리마다 한국어와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 포르투칼어,아프리카 어느 종족의 언어로 떠드는 소리로 왁자하다.

인구구조가 다양하다보니 다른곳에서 구하기 힘든 상품을 취급하는 가게들도 많다.

 

외국인들은 한국맥주가 맛없다며 한탄한다.

맥주로 유명한 위스콘신 주에서 자란 저자는 맥주맛을 좀 아는데, 아무리 좋게 말해도 한국 맥주는 질이 떨어진다.

하이트나 카스 같은 한국 맥주들은 홉 냄새 비슷한 풍미도 없는, 맥주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민망할 지경이라 말한다.

30개국을 여행한 저자는 한국맥주는 최악이라 한다.

좀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남한 맥주가 최악이라고 표현해야 할것같다. 북한의 대동강 맥주를 마셔봤는데 훨씬 맛이 좋았다.

 

그러나 하우스맥주에 대한 정부 규제도 완화되어 지역별로 맥주 제조가 특화되는건 시간 문제일 것이라 생각하므로 한국 맥주의 미래에 대해선 꾀 긍정적이다.

 

서울에서 최고로 꼽을 만한 막걸리집도 녹사평에 있다.

해방촌에 위치한 '다모토리 ㅎ'이라는 곳이다.

한국막걸리는 상표별로, 생산되는 지역별로 다양한 막걸리를 마실수 있어서 좋다.

다모토리 ㅎ 은 한국의 각 도에서 생산된 25종의 막걸리를 갖추고 있다.

그중에서 강원도산 찹쌀누룽지 막걸리를 좋아한다.

 

다모토리ㅎ 을 찾는 손님들 대부분이 한국인이며 간혹 외국인이 섞여있기도 하다.

 

동대문역

동대문에서 아무리 좋은 음식을 먹고 흥미로운 광경을 본다고 해도 계속 돌아다니다 보면 다소 질릴때가 있다.

그럴땐 기분전환을 위해 낙산길을 따라 낙산공원쪽으로 가보자.

복원된 옛 성벽을 한옆에 끼고 걷다보면 부산스럽던 주변이 어느새 차분하게 가라앉음을 느낄수 있다.

성벽 동쪽 길은 포장이 되어있고 길 곳곳에 설치된 확성기를 통해 클래식부터 오래된 응원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음악이 흘러나온다.

 

여의도역

여의도만큼 급변한 곳은 별로 없다.

고려 시대에는 말의 사육장으로 사용했으며,조선시대에는 가축을 기르는 방목지였던 여의도는 1900년대 초 일제가 한국최조의 비행장을 건설할 때까지도 예전 목초지 상태 그대로 남아있었다.

그러다 1970년대 들어와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요즘처럼 한국의 금융 및 정치 중심지로 탈바꿈하기 시작했다.

 

금융 및 정치 중심지라는 점 때문에 여의도는 서울의 맨해튼이라 일컬어 지기도 한다.

 

종로5가역

1974년 개통한 1호선은 건설 당시 서울의 중심 지역들을 모두 연결하도록 설계되었다

즉, 서울역에서 시작해 종로, 동대문을 거쳐 청량리역에서 끝나는 노선이었다.

그러나 지난 40년간 서울이 놀랍도록 빠른 속도로 현대화된 것에 비해 초기 1호선 노선의 주변 지역들은 여전히 구시가지로 남아있다.

 

종로5가에 아무리 변화의 물결이 넘쳐나도 주요 지형지물인 광장시장만큼은 언제나 변함없이 그 자리에 남아있다.

1905년 한성부에서 개설 허가를 내준 최초의 근대시장이라 역사적인 중요성은 두말할 나위도 없고 규모역시 대단하다.

 

광장시장은 먹자골목으로 잘 알려져있지만 한복상가로도 유명하다.

옷본뜨기와 재단은 여기서 하고 원단은 진주와 대구에서 들여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