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식량이 문제일까? - 10대에게 들려주는 세계 식량 이야기 왜 문제일까?
캐슬린 게이 지음, 김영선 옮김, 윤병선 도움글 / 반니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지구 한편에서는 먹을거리가 부족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남아돌까?
  유전자 변형 농산물은 먹어도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일까?
  거대한 공장식 농장에서 길러지는 가축들은 행복할까?

  옥수수로 만든 재생 에너지는 정말로 더 좋은 세상을 가져다줄까?

이 책은 굶주림, 기후변화, 유전공학, 동물의 권리, 식량의 무기화 등
우리가 꼭 한 번 곱씹어 생각해볼 만한
먹거리를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들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설명해주고 있다..

 

청소년들이 지금 일어나고 있는 세계의 큰 이슈들을 찬찬히 들여다보고 모두가 함께 사는 미래를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보자는 것이 이 책의 기획 취지다. 다소 어렵고 딱딱한 주제이지만, 정치, 환경, 과학, 인권 등과 얽힌 먹거리 문제를 생각해보고 토론할 수 있도록 알맞은 눈높이에서 설명했다. 또한 다채로운 관련 사진과 설명, 인터뷰 자료, 심화 읽기 등을 통해 관련 주제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농업과 정치와 환경과 과학 등 먹거리를 둘러싼 복잡한 연결고리들을 하나하나 풀어서 설명해주는 청소년 교양서다. 말이 청소년 교양서지 성인들 모두가 다 알아야하고 생각해 봐야할 주제를 다루고 있어, 누구나가 꼭 읽어야할 교양서이다. 굶주림은 왜 발생하고 국제식량원조 체계의 허점은 무엇인지, 유전자 변형 농산물이 약속하는 장밋빛 미래는 실현 가능한 것인지, 전염병이나 오염 등 여러 가지 재앙으로부터 우리 먹거리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조립라인을 이용해 동물들을 사육하고 도살하는 거대한 공장식 축산업의 잔인함과 동물의 권리 보호 등 먹거리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들을 균형 잡힌 관점에서 꼼꼼히 짚어준다.
현대의 기업적 농사법은 환경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농민들, 심지어 식품을 사 먹는 소비자들에게도 해롭다.

지구촌 곳곳에서는 아직도 식량위기가 계속되고 있고, 아프리카 곳곳에서는 식량난으로 인해 큰 위기를 겪고 있다. 하지만 그러함에도 가난한 국가들의 식량 위기를 해결할 방법은 멀기만 하다.

예전에 식품주식회사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본적이 있다.

이 영화에서 보면 한쪽에서는 비만으로 인한 여러 가지 질병에 시달리는 반면, 한쪽에서는 굶주림과 기아에 허덕이는 현실을 지적하고, 이러한 원인이 대규모 식품회사의 독점과 이에 따른 식품시스템의 구조 때문이라 설명한다. 그리고 식품시스템의 제어권을 두고 생산자와 소비자, 기업과 정부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이해관계의 대립과 갈등이 과학, 경제, 정치, 환경, 사회, 개인에게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위험성과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식량이 미래에 화두로 제시되면서 부족한 식량을 대체할 여러 방법들이 논의되고,

다양한 식량이 만들어져 잘사는 나라에서는 식량문제가 크게 와닿지 않는다. 넘치고 넘쳐 버려지기까지 하니,음식물쓰레기처리법이 문제될뿐이다. 없는 나라는 가난에 배고픔에 한해에 기아로 사망하는 아이들까지 나오는데, 나라마다의 간극이 너무 심하다는 생각이 든다.

 

풍족하다 못해 넘쳐나는 음식에 해마다 몇톤씩의 음식이 버려지고 있는 나라,가난과 배고픔에 진흙빚은 쿠키로 하루하루를 연명하는 가난한 나라

지구상에 극과 극에 치달은 너무 다른 환경과 상황에 할말을 잃게 한다. 버려지는 음식물이 없도록 각 나라들에게 고루 똑같은 환경이 조성되면 좋겠지만, 가난한나라와 부자나라간의 간극은 경제,사회 심지어 음식에 대한 문제로까지도 해결할수 없는 부분인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갈등의 상황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이유가 잘 사는 나라의 거대 농기업이 관리를 하다보니 실제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사람은 소득이 늘지않고, 기업만이 수익을 먹게 되고,이익 추구가 우선인 기업중심의 경영방식으로 농업이 관리되니, 없는 개인들은 가난에서 벗어나기 힘들고,못 사는 나라에서는 돈을 벌기 위해 자신들이 먹을 농사를 짓는 것보다 잘 사는 나라들에 수출할 물건들을 만들기 위한 시스템으로 환경이 반복되고 있다.

 

가난은 나라님도 구제못한다고 했다. 하지만 인간의 가장 기본권인 식량문제로 인해 생사가 좌지우지 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된다.

식량문제가 많은 화두가 되고 있는 지금.

전세계적으로 이런 기본권인 식량문제가 해결될수 있는 대안이 생겨 누구나 먹거리에 소외되고,고통받는 이들이 없어지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