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제 나를 죽였다
박하와 우주 지음 / 예담 / 2013년 6월
평점 :
품절


범죄스릴러물은 영화, 책 어떠한 양식으로 만들어져도 흥미롭게 볼만한 소재인것 같다.
실제 검찰청 출신 작가라는 점이 책을 더더욱 흥미롭게 만드는것 같아 책을 읽기전에 기대를 많이 했다.
아니나 다를까 기대만큼의 작품이었다.
범죄피해자에 대해 심도있게 고민하고 그들을 돕고자 노력해온 장준호박사를 주축으로,다양한 캐릭터가 등장한다.
장준호박사는 범죄피해자와 유가족을 위한 외상후증후군 치료 프로그램을 마련하고,10명의 피해자가 참여한다.
등장인물중에는  열심히 키운 노력에도 불구하고, 보모에 의해 아이를 잃게 되는 미혼모가 등장한다.
또한 돈을 갚지 못해 사채업자에게 무참히 살해당한 형에 대해 괴로워 하는 동생, 결혼 1주년에 사랑하는 부인을 잃게 된 기자 등 범죄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받은 등장인물들이 나온다.
이들 모두 나름의 상처를 가지고 치료를 받기위해 센터에 하나둘 모여든다.
지방오지에 통신도 두절된 곳에 위치한 센터에서 프로그램 진행도중 소표가 배달된다.
이 소포는 끔찍한 살인사건의 전조를 보이는데, 배달된 소포가 폭발하면서 등장인물들은 모두 한자리에서 소포 안에 있는 가루를 뒤짚어쓰게 된다.이들은 살인 충동을 느껴 살인을 저지르게 된다는 조디악바이러스에 감염되 누가 누구를 죽일지 모르는 공포속에 지내게 된다.
상처를 안고 살던 이들에게 또다른 죽음이라는 공포와 끈질기게 투쟁해야 하는 시간을 각 장마다 스피드있게 흥미롭게 전개해 나간다.
과연 누가 범인일까? 생각하다 보면 예기치않게 살인자의 정체가 밝혀진다.
예상치도 못한 결론이라 작가님들의 생각과 노력이 많이 묻어난 작품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한다.
범죄로 인한 살인은 피해자와 유가족에게 평생을 잊지못할 고통을 안겨주는데 과연 가해자를 사형했다는 이유로 그 끔찍한 기억과 고통이 지워질까?
죽음은 한번으로 끝이지만,기억은 죽음에 다다르기 이전까지 끊임없이 계속될것이다.
병원이 아픈사람이 없는 한 계속 존재하는 것처럼 악한 감정과 악한 사람이 존재하는 한 범죄는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작가의 독특한 책 제목이 말해주듯 이책은 흥미,재미,교훈,여운과 함께  범죄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소설의 힘을 비뤄 생각케 한다.
 이책은 영화 큐브와 강풀의 이웃사람,영화 알포인트 등의 느낌이 묻어나는 듯하고, 약간의 아쉬운 점도 없잖아 있지만, 잘 다듬어 영화로 만들어져도 괜찮을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