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Struggle to be poor. Struggle for the poor.
- 알로이시우스 피에리스
스리랑카의 민중신학자 알로이시우스 피에리스는
가진자들이 가져야 할 자세를 가난해지기 위한
노력, 가난한 자를 위한 노력이라고 정의했다
자발적 가난은 개인의 도덕성과 영성의 문제이며
모든이에 대한 사랑과 사회정의에 대한 헌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앨런 긴즈버그의 시다. 

한겨레신문 직설에서 김선주씨가 이야기한  시다. 


너무나 많은 것들 - 앨런 긴스버그

너무나 많은 공장들
너무나 많은 음식
너무나 많은 맥주
너무나 많은 담배
너무나 많은 철학
너무나 많은 주장
하지만 너무나 부족한 공간
너무나 부족한 나무

너무나 많은 경찰
너무나 많은 컴퓨터
너무나 많은 가전제품
너무나 많은 돼지고기
회색 슬레이트 지붕들 아래
너무나 많은 커피
너무나 많은 담배연기
너무나 많은 종교
너무나 많은 욕심
너무나 많은 양복
너무나 많은 서류
너무나 많은 잡지
지하철에 탄 너무나 많은
피곤한 얼굴들
하지만 너무나 부족한 사과나무
너무나 부족한 잣나무

너무나 많은 살인
너무나 많은 학생 폭력
너무나 많은 돈
너무나 많은 가난
너무나 많은 금속물질
너무나 많은 비만
너무나 많은 헛소리
하지만 너무나 부족한 침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살은 사회적 사형행위이다. 

 순기능으로 감정은 모든 동기를 좌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쟈의 저공비행에서 옮긴 글이다. 항상 도움이 된다. 

메를로퐁티의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검색하다가 알게 된 것인데, 흥미롭게도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가 선정한 '2010년도 대학 신입생을 위한 추천도서 20종'에 포함돼 있다('대학원 신입생'을 위한 책이 아닐까?). 겸사겸사 추천도서의 리스트를 훑어보고, 분야별로 몇 권씩 묶어놓는다(작년에도 같은 리스트를 올려놓은 적이 있군. 목록을 비교해보도 좋겠다). 폴 크루그먼의 <불황의 경제학>과 알랭 드 보통의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에는 임의로 두 권씩을 덧붙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밑바닥 인생의 그 억울한 고통을 함께 나누면서 그들에게 사랑과 공의의 

 새질서를 몸소 보여주었던 갈릴리의 예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