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화양연화 - 책, 영화, 음악, 그림 속 그녀들의 메신저
송정림 지음, 권아라 그림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음악, 영화, 그림 속의 그녀에게
인생의 길을 묻는다.



내 인생의 화양연화








송정림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소설과 라디오 드라마를 집필하였다. 교직생활을 그만두고 전업작가의 길로 들어선 후 TV드라마와 라디오 드라마를 집필하고 있다. [녹색마차], [약속], [너와 나의 노래], [성장느낌 18세], [그 집에는 술이 있다] 등의 드라마를 썼으며, KBS 1FM <출발 FM과 함께>, <세상의 모든 음악> 등의 작가로 일했다. 지은 책으로는 《명작에게 길을 묻다》, 《감동의 습관》, 《영화처럼 사랑을 요리하다》, 《신화처럼 울고 신화처럼 사랑하라》, 《사랑하는 이의 부탁》, 《성장 비타민》, 《마음풍경》, 《뭉클》 등이 있다. 









얼마 전 타임워프를 소재로 한 영화 어바웃 타임을 봤는데, 영화를 다 보고 난 후 송정림 작가의 "내 인생의 화양연화"가 생각이 났다. 총 48개의 이야기들 중에서도 잉게보르크 바흐만의 <삼십 세>를 주제로 쓴 <일어서서 걸어라>파트에서 읽었던 문장이 영화 어바웃 타임의 주제와 일맥상통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p.26 "내 그대에게 말하노니 일어서서 걸으라. 그대의 뼈는 결코 부러지지 않으니. (...) 처음 학교에 입학하는 신입생처럼 노트 한 권을 사세요. 어차피 우리는 매일 인생 학교에 입학하는 신입생이니까요. 그 노트를 펴고 기록하시기를 바랍니다. 내 삶의 알리바이는 내가 증명하는 것, 내 삶의 역사는 내가 써 나가는 것, 아직 늦지 않아요."



어바웃 타임의 주인공인 팀은 성인이 된 날 아버지로부터 놀랄만한 가문의 비밀을 듣게 된다. 바로 이 집안 남자들은 시간을 되돌릴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 하지만 타임워프를 통해 느끼는 기쁨은 잠시였을 뿐. 자신이 원하는 시간으로 돌아가 과거의 결과를 바꿔놓게 될수록 팀을 둘러싼 주변 상황들은 미묘하게 엇갈리고, 예상치 못한 사건들이 여기저기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리고 어떤 한 사건을 통해 제 아무리 타임워프를 통해 인생을 다시 살게 되더라도 하루하루 주어진 인생을 내 삶의 마지막인 것처럼 최선을 다해 살아가는 것 만큼 삶에 의미가 큰 것은 없다는 걸 깨닫게 된다. 




  

<영화 어바웃 타임 스틸컷 中>

 

 

 

지금 나에게 당면한 삶에 주어진 순간에 성실히 임하는 것. 이것이 바로 인생을 좀 더 뜻깊고 보람있게 만드는 방법이라고 책과 영화는 공통되게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얼마 전 나에게 어머니가 해준 말이 떠오른다. 한 치 앞을 모르는게 인생이니 하루를 살아도 의미있게 살아가라는 말. 당시에는 와 닿지 않았던 이 말이 이제서야 마음 깊숙한 곳을 찌른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 고민하는 이들에게 작가는 말한다. 내 삶은 내가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어차피 우리는 매일 인생 학교에 입학하는 신입생인 것이기에 하루를 내게 주어진 마지막 날인 것처럼 최선을 다해 살아가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