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씽 The One Thing - 복잡한 세상을 이기는 단순함의 힘
게리 켈러 & 제이 파파산 지음, 구세희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3년 8월
평점 :
품절


원씽 The One Thing -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

 

이렇게 멋진 책이 있다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책을 덮으며 한 수 크게 배웠다는 말이 절로 나옵니다.

 

- 탁월한 성과는 당신의 초점을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 성공을 생각할 때에는 삶에서 도미노 효과를 만들어 내야 한다.

 

- 인생은 우리를 위해 모든 일을 나란히 줄 세워두고 “여기서부터 시작하면 돼.”라고 친절히 알려주지 않는다.

 

- 열정은 어마어마한 양의 연습이나 노력으로 이어진다. 그러게 쓰인 시간은 기술로 축척되고, 기술이 나아지면 결과 역시 나아진다. 더 나은 결과는 보통 더 많은 즐거움을 불러오고, 그러면 다시 더 많은 열정과 시간이 투자된다. 선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 성공에 관한 잘못된 믿음

1.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2.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

3.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4.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5.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6.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 만성적으로 멀티태스킹을 하는 사람들은 어떤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예측하는 감각이 떨어진다. 그래서 실제보다 훨씬 더 걸린다고 생각한다.

 

- 사실 성공은 단거리 경주다. 건전한 습관이 자리를 잡을 때까지만 자신을 훈련시켜 달리는 단거리 전력질주인 셈이다.

 

- 성공을 이루는 비결은 올바른 습관을 선택하고 그것을 확립하기에 필요한 수준만큼의 통제력을 갖추는 것이다.

 

-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데는 평균 66일. 전문가들은 21일이라고 얘기하기도 한다.

18~254일까지 다양

 

- 의지력도 피곤함을 느낀다.

 

- 머리를 많이 쓸수록 정신력이 떨어진다. 의지력은 빠르게 피로해지고 휴식을 필요로 하는 속근과 같다.

 

- 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으로 처리해야 한다.

 

- 균형 잡힌 삶 같은 건 존재하지 않는다. 대부분 사람들이 곰곰이 생각해 보지 않은 채 달성 가능한 훌륭한 목표인 것처럼 받아들이는 잘못된 개념일 뿐.

 

- 우선순위와 균형은 함께할 수 없다. 균형이라는 말 대신 우선순위라는 말을 써야 한다. 그러면 여러 선택지들을 더욱 또렷하게 볼 수 있고, 또 다른 운명으로 가는 문을 열 수 있다. 우선순위에 따라 행동하면 자동적으로 균형에서 벗어나 어느 하나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된다.

 

- 자신의 한계를 아는 사람은 없다. 스스로를 큰 인물이라 생각하면 좋다. 낯선 땅에 방금 도착한 무일푼의 이민자가 성공적인 기업가가 된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는 것도 모두 이에 해당한다.

 

- 큰 목표에 도달할 때쯤이면 당신도 이미 성장해 있을 것이다.

 

- 당신의 목표가 10이라면 20까지는 어떻게 도달할 수 있을지 고민하라.

 

- 삶의 매순간마다 가장 적합한 행동을 하라.

 

- 인생은 질문이다. 답의 질은 질문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 무엇이냐에 따라 궁극적으로 우리의 삶이 되는 해답이 정해진다.

 

- 질문의 구조

1. 당신이 할 수 잇는 단 하나의 일

2. 그 일을 함으로써

3.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 없게 만들 일은 무엇인가?

 

- 다이어트를 위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은?

배우자와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은?

부모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은?

 

- 해답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것을 얻고 싶다면 그것이 당신의 컴포트 존 바깥에 있음을 먼저 깨달아야 한다. 거기에는 산소도 부족하다. 큰 해답은 훤히 보이는 곳에 있지도 않고, 그것을 찾으러 가는 길 역시 험난하다. ‘가능성이 있는 것’은 이미 알려진 것과 이미 행해진 것 너머에 있다.

이 글이 인생의 재미라고 봅니다. 당장 잘할 수 있는 것은 쉽고 익숙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일만 하고 거기에서만 해답을 얻으려 하면 인생의 많은 것을 얻을 수가 없죠. 컴포트 존 밖으로 나가야 합니다.

 

- 자신만의 해답을 찾고 싶다면 다른 사람들의 연구와 경험을 공부하라. 그곳은 최고의 탐색 장소다.

책과 사람(나보다 뛰어난)이라고 생각합니다.

 

- 생산성은 목적의식과 우선수위에 따라 결정된다.

당신이 가져야 할 큰 하나는 목적의식이고, 작은 하나는 그 목적의식을 행동으로 옮길 때 필요한 우선순위다.

 

- 사람들을 가르치고, 조언하고, 책을 통해 사람들이 최대한 훌륭한 삶을 살도록 돕는 것.

 

- 행복은 만족으로 가는 길에 나타난다. 가장 확실한 길은 큰 목적의식을 갖고 매일 하는 그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좋은 말이네요. 모든 것을 다 이룬 듯 보이는 사람도 만족으로 가는 길을 향해 열심히 달려가는 것을 보게 됩니다. 우리가 보기에는 ‘저렇게 달릴 필요가 있나? 많은 것을 이뤘으면서’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그 사람들도 그렇게 달려가야 행복한 것이죠.

 

- 현재 중시 편향 : 보상이 먼 미래에 발생할수록 그것을 달성하고자 하는 즉각적인 동기가 줄어든다.

이 현재 중시 편향을 넘어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 지금 당장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알 때까지 생각하는 법을 훈련하고, 하나의 목표를 다음 목표와 연관 짓는 법을 훈련해야 한다.

 

- 계획의 오류 : 우리는 과도하게 낙관적이고 스스로의 능력에 대해 평균 이상이라고 자부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어떤 결과에 수반되는 과정을 철저하게 생각하니 않는 우를 범한다.

 

- 성공하는 사람일수록 시간을 생산적으로 쓴다.

 

- 매주 한 시간을 따로 떼어 연간 목표와 월간 목표를 검토하라.

 

- 끈기는 장거리 경주가 아니라 계속해서 이어지는 여러 개의 단거리 경주이다.

 

- 나의 단 하나의 일이 끝날 때까지 다른 모든 일은 나의 집중력을 흐리는 잡무에 불과하다.

 

- 급한 일을 부탁받았을 때의 방법은?

일단 알겠다고 대답하고, “그 일을 언제까지 마쳐도 괜찮을까요?”라고 구체적인 시간을 들어 묻는 것이다. 급하게 해달라고 할 경우 하던 일을 멈추고 부탁 받은 일을 한다. 이 때에는 확보한 시간을 지키지 못했다면 대체할 시간을 찾아라.

 

- 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의 이동 : 무언가의 경지에 이르는 길은 그냥 최선을 다하는 것이 아니다.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가장 알맞은 방법으로 노력할 수 있어야 한다.

 

- 우리는 그럭저럭 괜찮은 수준에 올랐다고 생각되면 즉각 배움의 스위치를 끄는 경향이 있다.

 

- 아마추어와 전문 연주자들 사이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전문 연주가들이 된 사람들은 스승이나 코치를 찾아내고 그들의 지도하에 훈련을 했다.

 

- 생산성의 도둑들을 막자

1. 거절하라 : 성공의 열쇠는 모른다. 그러나 실패의 열쇠는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려는 것.

2. 혼란을 인정하라 : 위대함을 추구하다 보면 혼란은 반드시 일어난다.

3. 건강하라 : 충분한 수면과 성공은 연관 관계가 있다.

4. 주변 환경이 나의 성공을 돕도록 하라 : 사람과 환경

당신을 더욱 높은 곳까지 끌어올려 줄 사람으로 주변을 채워라 - 오프라 윈프리

홀로 성공하는 사람도 없고, 홀로 싶래하는 사람도 없다. 주변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져라.

성공으로 가는 길을 깨끗이 치워두어라.

 

- 지금의 소득을 적어라. 아무 숫자나 곱하라. 그 숫자를 적어라.

“지금 내가 하고 있는 행동들이 향후 5년 내에 내게 이 금액의 소득을 가져다주겠는가?”

 

- 성공은 내면에 있다. 스스로를 바로 세워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