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의 생각을 키우는 초등 철학수업
미셸 토치.마리 질베르 지음, 박지민 옮김 / 레몬한스푼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찰의 힘을 키워주는 것은 

자녀가 자기 자신으로 살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저는 아이의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고 싶어요. 학교를 다니며 배우는 공부들을 왜 배워야 하는지, 아이들이 어떤 상황이나 책을 보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등등 아이와 대화하며 생각하기를 키워주고 싶었습니다. 제가 평소에 왜 그럴까? 를 물어보곤 해서인지 아이도 질문을 곧잘 합니다. 그러다 가끔 아이가 제게 생각하지 못했던 질문들을 해요. 그럴 때는 질문에 어떻게 답을 해 줘야 할지 막막할 때가 있습니다. 아이들의 그런 질문들에 "한번 생각해보자! 너의 생각은 어떠니?" 라고 물어보면 되는데 부모로써 정답을 말 해줘야 할 것만 같습니다. 아이의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고는 싶지만 어떻게 아이와 철학 대화를 하면 더 좋을지 이 책에서 해답을 찾고 싶었습니다.


이 책은 유네스코 어린이 철학수업 창설자 미셸 토치와 창의적 토론 수업 전문가 마리 질베르 두 분의 저자가 지었습니다.


이 책의 구성은 PART 1.자녀와 함께하는 철학수업 어떻게 진행할까? 와 PART 2. 자녀와 함께하는 철학수업 무엇을 토론할까? 로 나눠 이야기 합니다.


아이와 철학 수업을 하기 전 부모 먼저 성찰의 시간을 갖기를 권합니다. 부모 먼저 나를 명확히 알아야 경험자로서 아이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삶을 이해하고, 자신의 의견을 정리하고, 더 삶을 잘 꾸려나갈 수 있겠지요.


아이와 편안하고 자유로운 토론을 하려면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자녀의 질문에 귀 기울이기

ㆍ질문에 대해 탐구하도록 독려하기

ㆍ처음부터 부모의 관점 제시하지 않기

ㆍ자녀가 말한 내용을 재표현하여 더 깊이 생각하도록 이끌기

ㆍ자녀가 자신만의 답을 찾아내도록 도와주기


자녀는 어른들이 자신을 진지하게 생각해준다는 뿌듯함과 어른들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는다는 즐거움에 동기부여를 받는다고 해요. 저는 아이의 생각에 먼저 판단을 하고는 하는데 판단을 멈추고 자녀의 생각과 질문에 먼저 귀 기울여주고, 자녀의 생각에 평가나 비판, 훈계를 하지 않고 안심하고 맘껏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겠어요.


PART 2.자녀와 함께하는 철학 수업은 무엇을 토론할까요?


정체성, 사랑, 가족, 학교, 감정, 행복, 차이, 폭력, 자유, 권리와 의무, 정의, 진실, 시간, 인생계획, 더불어 살기 등의 15가지 이야기로 토론을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성찰의 실마리'라고 해서 그 주제에 관한 여러가지 질문들을 고를 수 있게 도와줘요. 또한 관련된 이야기들도 나옵니다. 아이의 상황에 맞춰 선택하여 아이의 성장과 변화에 발맞춰 성찰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어떤 주제를 아이가 물어보면 깊이있게 물어보는 게 쉽지 않은데 이 책의 '성찰의 실마리'를 활용하여 아이의 생각을 들어보는 좋은 시간을 가질 수 있겠어요.


어떤 철학적인 주제로 이야기 하든 부모는 어려울 수 있지요. 그래서 각 주제마다 '부모를 위한 도움말'이 있습니다. 이 주제가 자녀에게 왜 중요한지 말해주고, 다양한 관점을 다룸으로 자녀와 열린 토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토론의 주제들을 가만히 들여다보니 아이가 평소에 했던 말들과 행동과도 연관이 깊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날 사랑한다면서 왜 나한테 화내?","왜 아빠는 커피 마시면서 나는 못 먹게 해?","엄마도 죽어?","우리는 밥 먹을 때 영상물 못 보는데 왜 쟤(다른집 아이)는 보여주는거야?","어른이 빨리 되고 싶어. 어른이 되면 마음대로 할 수 있으니까." 등등 나, 가족, 사랑, 학교, 감정, 행복, 차이, 자유, 정의, 진실, 시간 등과 관련이 있어요. 아이와 대화할 수 있는 주제가 무궁무진하군요.^^ 아이가 학교에 다니니 학교 생활이 궁금했는데 학교에 관한 주제도 좋았습니다.


아이가 평소에 하는 질문들에 아이가 자신의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었는데 어떤 질문들을 하면 좋을지에 대해 많은 힌트를 얻었습니다. 이 책을 보며 아이와 대화하고 싶은 주제로 하나씩 질문을 던져보고 싶습니다. 아이뿐 아니라 저부터 성찰하는 시간을 가져보고 싶어요. 차근차근 아이의 생각을 들어보는 시간을 많이 가지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