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의 탄생
전정숙 지음, 김지영 그림 / 올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글의 원리를 보면 얼마나 과학적으로 만들어졌는지 감탄하게 되는데요. 자음의 기본 글자 ㄱ ㄴ ㅁ ㅅ ㅇ 은 사람의 발음 기관 모양이나 움직임을 본떠서 만들었고, 모음은 천지인 즉 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 서있는 사람인 ㆍ ㅡ ㅣ 를 기본자로 해서 모음 글자를 만들었다고 하지요. 태극기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글자는 하늘과 땅, 사람이 함께하는 소중한 글자입니다.


저자 또한 한글의 원리에 감탄하여 모음 글자를 캐릭터로 모음의 제작 원리를 그린 <노는 게 좋은 ㅡ ㆍ ㅣ > 란 책을 내고 이어서 자음의 제작 원리를 알려주는 이 책 <자음의 탄생> 이란 책을 냈습니다.


자음이 만들어진 원리를 어떻게 쉽게 그림으로 설명이 되었는지 궁금해집니다.


책의 표지를 보면 궁금증을 자아냅니다.

이게 과연 뭘까요?

아이들에게 물어보니 입인 것 같다면서 이건 이, 이건 혀 인거 같다고 말하네요. ㅎㅎ

자음이 사람의 발음 기관을 본떠서 만들어서인지 이 책 표지에도 그것을 나타낸 것처럼 보이는데요.

어떻게 입에서 자음이 나오는지 한번 볼께요.





와~~~이 그림만 보아도 어떻게 자음이 나오는지 알 수 있겠지요?

어금닛소리 글자 ㄱ 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혓소리 글자 ㄴ은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양을

입술소리 글자 ㅁ은 입의 모양을

잇소리 글자 ㅅ은 이의 모양을

목구멍소리 글자 ㅇ 은 목구멍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어요.


글자들이 입에서 어떻게 나오는지 그림과 글로 쉽게 알려줘요.





그렇게 ㄱㄴㅁㅅㅇ에서 파생된 여러가지 자음들이 나와 신나게 놉니다. 여기서 저는 아이들에게 물어보았어요.


"자음 친구들 다 나온 거 같아?

엄마가 보기에는 자음이 하나 빠졌는데 뭘까?

한번 맞춰볼래? "


잘 모르는 거 같아 ㄱ,ㄴ,ㄷ ㆍㆍㆍ하면서 찾아보라고 힌트를 줘도 모르네요. ㅎㅎ

그래서 뒷 장을 넘겼습니다.





맞아요. ㄹ 이지요.

ㄹ 은 ㄱ ㄴ ㅁ ㅅ ㅇ 어디에도 속하지 않지만 이런 발음도 존재하기에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해 만든 이체자이지요.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세종대왕님은 글자를 만들기 위해 소리를 연구하며 직접 많이 소리를 내봤겠구나 싶었어요. 입으로 소리를 내며 얼마나 연구를 했을까요?

모든 사람들이 쉽게 배울 수 있도록 간단하고, 쉬우면서도 모든 소리를 나타내려 연구했을 세종대왕님이 새삼 대단해 보입니다. 우리나라 글자로 세상 어떤 문자나 말도 표현 못 할 게 없다고 하지요. 그만큼 과학적이면서도 위대한 글자, 글자를 모르는 아이, 이제 글자를 배우는 아이, 글자를 배운 아이라도 함께 이 책을 보며 같이 발음도 해 보고 세종대왕님의 노고를 느끼며 즐거운 시간 되시면 좋겠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