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부자의 세상을 읽는 지혜 - 그들은 어떻게 부자가 되었나?
이준구.강호성 엮음 / 스타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농공상의 조선시대.
당시 조선 시대에서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학문을 익혀 정치를 하는 선비> 농업을 해서 식량을 생산하는 농민> 물건을 만드는 장인> 재화를 유통하는 상인 등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비중이 달랐다. 돈을 버는 것을 제일 하찮은 것으로 책을 보는 걸 제일로 쳤다는 말이다. 이런 사회의 인식을 가지고 있는 조선시대에 그 시대의 사람들은 어떻게 돈을 모았을까?

이 책은 조선 시대 선조의 홍순언 ㆍ 헌종의 임치종 ㆍ정조  임상옥  인물외엔 거의  근세시대ㆍ일제시대의 인물들이 많이 나온다. 그 시대는  조선후기 임상옥을 비롯하여 개항기를 거쳐 철도, 기선의 탄생과 함께 근대적 서양물품의 물량시대의 도래, 은행, 토지측량, 산금정책의 여파로 등장한 노다지 광산 거부시대까지 부자들의 이야기들을 다룬다. 이들에게서 배울 점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홍순언과 임치종은 비슷하게 기생집에서 엄청난 돈을 부르는 미인이 궁금하여 그 돈을 주었는데 이후 그 여자의 사정을 듣고 하룻밤 가까이 하지 않고 떠났다. 다들 그말을 듣고 미쳤다고 그랬지만  나중에 그것이 커다란 행운으로 다가 온다.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부자라면 혹은 갑자기 떼부자가 되었다고 소문이 나면 사기꾼이나 돈을 빌려달라는 사람들이 꼬이기 마련인가보다. 어느 시대에고 그런 사람들이 부자에게 와 줄을 서는데 부자들은 괜히 부자가 되는 게 아닌 듯 하다. 거의 대부분이 산전수전 다 겪고 자수성가하여 일으켜 부자가 되었기에 사람을 딱 보면 어느 정도 간파를 하는 모양이다. 물건 또한 제대로 볼 줄 아는 눈썰미와 빠른 눈치로 세상을 꿰뚫어 보는 통찰력을 가지고 있는 듯 하다. 매일  사람들이 많이 찾아와 이야기를 해주기에  세상 돌아가는 일을 누구보다 빠르게 알고 미리 준비를 하여 부자가 되는 사람. 또한 하늘의 운까지도 따라준다.







상인을 하다가 독립운동을 한 남강 이승훈의 일화가 마음에 와닿는다. 
이승훈의 철칙은 장사야말로 정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이승훈은 처음 돈을 빌리러 오희순 영감을 찾아갔었는데 오희순 영감이 조상 묘에 석물한 이야기와 삼촌  욕을 하는 것을 듣자 말허리를 자르고 그것은 당연히 자식으로서 해야 할 마땅한 도리이며, 남에게 자신의 삼촌을 욕하는 것은 안된다고 오희순을 나무랐다. 오희순이 그 당시는 화가 났지만 다시 생각해보니 맞는 말이라 이승훈에게 돈을 빌려주었었다. 사업이 잘 되고 있었는데 청일전쟁으로  상점과 공장이 모두 부서져 버리고 상품들도 모두 없어져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 빚진 장사꾼들은 다들 봇짐 들고 도망쳤는데 이승훈만은 얼마나 빚을 졌는지 상세하게 적어 오희순을 찾아간다.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오희순집에 이승훈이 찾아온 것도 반가운데 상세한 빚장부를 적어온 것에 놀라 오희순은 감동하고 만다. 그래서 먹을 듬뿍 바른 붓으로 이승훈의 빚장부에 가위자로 죽죽 그어버리고 힘닿는데까지 돈을 빌려주겠노라고 이야기한다.

참 바른 사나이이다. 
바르게 바른 말 하고 끝까지 정직하게 행동하니  어찌 감동하지 않을수가 있겠는가? 또한 믿음이 갈수밖에 없을듯 하다. 






재물은  분뇨와 같아서 한 곳에 모아 두면 악취가 나 견딜 수 없지만, 
골고루 사방에 흩뿌리면 거름이 되는 법이다.


마지막  부분은 12대를 거쳐 300년을 이어온  경주 최씨  가문의 비밀을 파헤쳐본다. 최부잣집의 육훈과 육연이 나오는데 그 원칙을 철저히 지켰기에 300년동안이나 부자로 살지 않았을까 싶다.

조선의 여러 부자들을 보면 부는 이루는 것도 어렵지만 지키는 것은 더욱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는 3대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말이 있듯 지키기가  굉장히 어렵다. 그런데 300년을 이어온 최부잣집을 보면  진정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고 두루 주위를 살피며 사회에 공헌하는 것이 사실은 더 뜻깊은 일이 되며 결과적으로는 더 누구에게나 혜택이 가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지름길이 아닌가싶다.
조선의 부자들도 힘들게 돈을 열심히 모으고는 말년에 이제 이 돈들을 다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는 인물들이 많았던 거 같다. 그 돈을 어떻게 하면 더 갚지게 쓸 것인가에 목표를 두고 학교도 세우고, 장학재단도 만드는 등 여러  부분으로 사회에 공헌하여 지금까지도 칭송을 받는 사람들이 많았다. 많은 돈으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것. 그것이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다.

조선의 부자들에게서 우리 삶에 적용할 만한 것들이 많이 있다.
조선의 부자들을 통해 세상 사는 지혜를 배워보자.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