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과 왕릉, 600년 조선문화를 걷다
한국역사인문교육원(미래학교) 지음 / 창해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내가 서울에 살았다면 궁은 매일 갈 거 같은 곳이다. 그래서 서울에 갈 기회만 생기면  궁은 꼭 돌아보고 왔었다. 바쁜 도심속에 빌딩숲 사이로 궁에만 가면 신비로웠다. 조선에 와 있는 느낌이 들어서일까?  궁을 보면 기분이 이상해졌다. 조용하면서도 운치있는 곳. 가면 궁해설사가 있어 여유가 되면 따라도 다니며 들었지만 궁금증이 다 해결되지는 않았다. 그래서 의문을 품고만 있었던 것들이 있었는데 이렇게 좋은 책이 나왔다.

이 책은 왕궁에 살았던 인물들의 삶을 조명하고, 조선궁궐의 의례,  제도, 풍수, 주역, 천문, 서수와 사후세계의 철학 등에 대해서 자세하게 나와있다.

궁궐에 사는 인물은 왕, 왕비,  왕자와 공주, 궁녀, 내시 등이 나온다. 예전에 정도전 이라는 사극도 보며 정도전이라는 인물이 경복궁을 지을 때 어떤 마음이었는지, 왕은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지, 조선이라는 나라를 다스리기에 유교가 적합하다며 유교 주창까지 재미있게 보았었다. 그 때에 왕도 참 힘들겠다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역시나! 조선 왕의  삶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공부로 시작해서 공부로 끝난다. 왕의 역할, 권한, 왕이 참석하는 특별한 행사, 왕의 여가 생활, 수랏상까지 나온다.

왕비에 대해서도 나오는데 왕비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차기의 군주를 생산하는 일이었다고 한다. 차기의 군주를 낳다가 죽은 많은 왕비들. 단종의 어미가 단종을 낳고 죽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든다. 아니면 문종이 조금 더 오래 살았더라면..단종과 누이의 그런 파란만장한 삶이 이어지진 않았을텐데..

세계명작동화에 나오는  공주와 왕자는 어떤 모습인가? 그 곳에 나온 왕자와 공주를 생각하면 곤란하다. 조선의 왕자와 공주는 혼인을 하면 출궁을 하고 왕가의 누가 될까 전전긍긍하며 살아야했다고 한다.왕자는 세자가 되고 왕이 되면 최상의 삶이 되고 세자가 되지 못한 왕자와 공주는 되도록 눈에 띄지 않게 평범하게 살면 최상의 삶을 사는 것이라고 한다.
비운의 공주 경혜공주에 대해서도 나온다. 경혜공주는 단종의 누이인데  공주에서 관비로 나중에 비구니로 되어 서른여덟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죽지못해 사는 삶이 이런 삶일까? 비구니로 있으면서 어떤 생각들을 하였을까? 단종만 불쌍타 생각했었는데 경혜공주 이야기를 읽으니 경혜공주의 그 처지가 참으로 안타까웠다.



조선시대엔 여자의 이름이 없었다는 사실을 알고 깜놀했다.  여자의 존재감  없이 결혼전과 후로 나뉘어  불렸다는 것이 그 시대 여자를 어떤 식으로 생각하게 했는지 짐작조차 가지 않는다. 여자는 그냥 부엌떼기였나? 어릴 때  할머니 어린 시절  여자는 교육도 못받아 한글도 못 읽는다는 어르신들도  있었는데 조선시대의 생각들이 지금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실로 놀라울 일이었다.

궁녀에 대해서도 나온다. 궁녀가 어떻게 뽑히는지, 근무시간과 옷차림, 업무 등에 대해 나온다.  궁녀는  하루 근무하고 하루 쉬는 격일제가 원칙이었다고 한다. 궁중가사노동전문가인 궁녀라 할 일은 많았겠지만 그래도 격일제로 쉬니 할 만 했을 거 같다.
궁녀의 말년과 죽음에 대해서도 나온다. 궁녀가 궁을 나갈 수 있는 경우가 자세히 나와있다.

내시에 대해서도 나온다. 중국에서는 환관이라 하여 환관이 정치를 해서 중국을  부정부패로 만들며 엄청난 권력을 행사했었는데  우리나라 내시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나온다.  환관이 되는 방법,  환관이 하는 일에 대해서 나온다. 우리가 알고 있는 내시의 특성상 결혼은 못 할거 같은데  결혼도 하고 자식도 있고  심지어 족보까지 있다. 놀랍지 않은가? 그리고 우리나라 환관의 유래는 통일신라 시대부터인데 고려시대 내시는 귀족 엘리트  계층이었다고 한다.

궁에 가보면 건물의  추녀마루에 잡상이라고 부르는 토우가  있다. 그것이 무엇인지 그것을 왜 지붕에 올려놓았는지 늘 궁금했는데 궁금증이 풀렸다. 잡상은 궁궐의 모든 것을 지켰다고 한다. 기와와  추녀를 보호하기도 하고 전체적인 건물의 미학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도 높다고 한다. 잡상의 숫자와 크기에 따라 건물의 중요도도 알 수 있다고 한다. 잡상도 괜히 올려놓은 게 아니고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경복궁은 <<주역>>의 원리로 지어졌다고 한다. 팔괘와 음양오행설 등이 나온다. 이것을 보며 드는 생각. 태극기도 유교의 산물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밖에 세종, 세조 등 왜 종과 조로 끝나는지 이유를 알았다.
종묘에 갔을때는 다른 궁과는 다르게 왠지 그 위압감에 눌려  으스스하였는데 종묘에 대해서도 많은 공부를 하여 좋았다.

다만 아쉬운점은 이 책에서도  천문으로 읽는 궁궐과 과학으로 보는 궁궐등을 다루지 못했다고 밝히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천문과 과학적으로  본 궁궐 내용이 빠진 것이 아쉽다. 그리고 사진들도 칼라로 나왔다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더 현장감있게 보일 텐데 그 점이 못내 아쉽다. 그래도 궁금했던 왕과 왕비, 왕자와 공주,궁녀와 내시, 종묘, 주역에 입각해 지은 궁궐, 옥새 등 우리가 알지 못했던 내용들을 자세하게 다뤄줘서  고맙게 생각한다. 앞으로 궁에 간다면 이 책  덕분에 더 많이 볼  수 있을 거 같아 기대가 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