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분 뚝딱 철학 : 생각의 역사 - 2021년 올해의 청소년 교양도서 선정, 2021 세종도서 교양부문 5분 뚝딱 철학 : 생각의 역사 1
김필영 지음 / 스마트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철학은 참 어렵다. 그냥 철학이란 단어만 들어도 머리가 아프다. 한편으로는 철학이 도대체 무엇이기에 사람들은 철학에 대해 지금까지 이야기할까? 호기심이 생긴다. 공대 출신 철학박사가 쓴 5분 뚝딱 철학이라니~~생각의 계보를 그려준다는 글에 마음이 끌린다. 생각의 계보를 따라가다보면 철학이 조금 더 쉽게 다가오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을 쓴 저자 이필영님은 어릴 때부터 불안을 많이 느꼈는데  자신의 극심한 불안증에 대한 원인및 해결법을 찾기 위해  온갖 심리학 서적  및 해외 논문들까지 찾아 공부하다가 철학 공부로 이어졌다고 한다. <5분 뚝딱 철학>은  유튜브로 2년 동안 매주 1편씩 올리고 있다고 한다.
저자의 생각에 철학의 쓸모는 '생각의 명료화'라고 이야기한다.



철학사 지도는 크게 진(이성,지성),선(의지,도덕),미(욕구,욕망)로 구분하여  진에 해당하는 분과로 존재론,인식론, 논리학, 과학철학, 수학철학, 언어 철학이 있고, 선에 해당하는 분과로는 윤리학과 종교철학, 정치철학, 심리학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미에 해당하는 분과로는 미학이 있다.

미국의 과학철학자 노우드 러셀 헨슨은 과학적 방법론을 객관적이라고  생각하지만 헨슨은 그렇지 않다고 한다.  인간은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을 보며 과학자들도 예외가 아니라고 한다. 어쩌면 맞는 말일지도 모른다.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의 결과가 나오도록 세팅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논문들을 볼 때도 가끔 느끼는데 그 결과가 나오도록 하고 그 외의 예외는 두지 않는다. 과학자들도 편협하게 자기가 생각한대로 그렇게 보고 있는지도 모른다.  우리는 신이 아니기에 모든 걸 다 볼수도 알수도 없다. 우리가 아는 게 전부라는 착각을 할 때가 많지만 사실 그렇지 않은 거 같다.  우리가 아는 게 다 맞다는 것도 착각이다. 역사적으로도 편협하게 생각해서 일을 그르치거나 서로 편을 나눠 싸우는 붕당 정치, 지금도 정치를 보면 그런 경우가 참 많은 듯 하다. 내 편이 아니면 다 적으로 생각한다. 내 생각이 옳고 다른 사람 생각은 틀리다. 다른 사람이 다른 의견을 내는데 내 생각과 다르면 받아들이지도 듣지도 않는다. 그런 면에서 흄도 그렇고 헨슨도 그렇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많은 거 같다. 



공리주의에 대해 나온다. 저 아저씨를 밀면 5명을 살립니다. 유명한 트롤리 실험. 이런 상황이라면 어떻게 해야할까? 공리주의에 대해 나오는데 공리주의는 글쎄. 공리주의는 허점이 많은 거 같다. 많은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 소수의 사람들은 이익을 포기해야 할까?


미국의 정치철학자 한나아렌트는 뉴요커의 특파원 자격으로 8개월간의 아이히만의 재판을 참관하고 기록했는데 아이히만을 처음 본 한나 아렌트는 어디에나 있을 동네 아저씨 얼굴인 아이히만의 얼굴을 보고 놀랐다고 한다. 아이히만은 나는 위에서 시키는대로 내 일을 충실히 해냈다고 항변했다는데 한나아렌트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특별한 악인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상황에 놓이면 누구나 저런 악행을 할 수 있구나."
우리도 누구나 저런 상황이라면 저럴 수 있지 않을까? 현실에서도 불의에 맞서기보다 그냥 눈감기도 하는 상황이 많이 있다. 우리는 누구나 악인이 될 수 있다.

아이히만은 '그저 위에서 시키는대로 내 일을 했을 뿐' 이라고 했다. 왜 내가 그 일을 해야 하나? 를 생각했다면 타인을 생각했더라면 그렇게는 못했을 것이다. 나도 어떤 일을 하기 전, 어떤 말을 하기 전 왜? 라고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

어렵지만 칸트의 이론, 흄의 이론 등 여러 철학자들의 이론들을 배워보았다. 처음엔 무슨 말인지 몰라 한장한장 곱씹으며 읽느라 천천히 읽었는데 읽을수록 재미있었다.  알기 쉽게 그림도 그려 있어 더 이해하기 쉬웠다.철학은 아직도 어렵지만 그래도 쉽게 설명하려 애쓴 저자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시간이 되면 유튜브도 보고 싶다. 책의 끝에 유튜브 큐알코드들이 있어 쉽게 시청할 수 있게끔 해놨다. 가끔 이해가 안되는 것들은 영상을 보며 다시 곱씹어보는것도 좋을 거 같다. 머리가 아프지만 존재에 대해, 이 세상의  근원에 대해 이 세상에 호기심을 가지고 생각해 보는 좋은 시간을 가졌다. 어렵지만 재미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갑자기 번뜩 드는 생각. 아이들이 요스타케 신스케의 책들을 좋아하는데 그의 책들이 사실은 다 철학책이었다는 놀라운 사실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무상제공으로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