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히트 시그널 - 글로벌 아이돌을 설계하다 케이팝 산업에 대한 모든 것
윤선미 지음 / 블랙피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서평은 출판사 이벤트에 선정되어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JYP, 다날, 라진, FNC를 거쳐 현재 퍼스트원 엔터테인먼트에서 일을 하고 있다는 저자는 오랜시간 그리고 다양한 회사에서 일을 한 것을 바탕으로 '빅히트 시그널'이라는 책에 다양한 정보를 담아냈다. 저자가 참여한 앨범을 찾아보니 미스에이의 앨범과 2PM앨범 그리고 여러 앨범에 참여해 제작을 한것으로 보인다. 두 가수를 제외하고 다른 앨범들은 누구의 것인지 잘 모르겠다.


책은 다섯가지의 주제로 구성되어있다. 주제를 간단하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1.기획사, 2.마케팅, 3.수익구조, 4.스탭, 5.미래.


대중문화예술산업과 음악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그 회사들도 똑같이 성장히기 시작했다. 한류와 K-pop이라는 이름으로 우리나라의 이름이 세계 곳곳에 알려지기도 한다. 기획사는 오래전부터 해외진출을 염두하고 아이돌을 키우거나 해외시장에 진출했다. (jyp의 미국진출처럼) 이 과정에서 기획사는 상당히 많은 일을 한다. 발굴, 트레이닝, 제작, 홍보 등 음반이나 가수 전반적인 일들을 하고 앨범이 나오면 프로모션, 마케팅을 통해 홍보를 진행한다. 또 차기 아이돌을 준비하면서 미래를 준비하기도 한다. 또한 A&R이라는 팀에서는 작곡가를 발굴하거나 새로운 곡을 만들어 내기도 하고 매니저는 아이돌들의 전반적인 것을 관리하기도 한다. 코디, 헤어디자이너 등등 언급하지 않은 수많은 업무가 그 안에 산재되어 있다. 보이는 아이돌이 전부는 아니다.


예전부터 노래를 들을 때 누가 불렀나 보다는 노래에 집중했었다. 예전에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아이돌 덕질을 하지 않고 여전히 가수를 먼저 보지 않는다. 그러다보니 그들이 속해있는 기획사 혹은 회사의 이름도 전혀 모른다. 정말 유명한 기획사만 알고 있다. SM, YG, JYP, 빅히트, 로엔 정도. 몇몇 엔터 회사에 대한 투자에 관심이 있었고 이 산업 자체를 아무것도 모르다보니 배워야 했다. 회사의 오너가 생각하는 비전에 대해서 찾아봐야 했고 영업이익이나 자본금 등 기업의 펀더멘탈도 찾아봤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서 엔터 산업과 기획사의 운영방식, 향후 미래에 대한 것을 알게 되었다.


아이돌 덕질에서 멈추지 않고 그들이 속해있는 곳을 궁금해하는 사람들과, 엔터산업에 미래를 보고 그곳에 몸을 담으려는 사람들 엔터회사에 투자를 하기 전 엔터회사가 어떤 곳인지 어떻게 운영이 되는지 알고싶은 사람들이 보면 좋을 책이다. 조금 아쉬운 점은 엔터 산업도 코로나 이전으로 완벽히 돌아가기 어려울 것 같은데 엔터산업에서도 언택트 혹은 비대면이라 불리는 것이 분명 있을텐데 2020년 한해동안 온라인 콘서트 등 여러가지 사례나 나아가야 할 방향 제시가 없었다는것은 아쉽다. 어떤 분석을에 의하면 향후 엔터테인먼트는 단순히 가수를 키워내는 곳에서 끝나지 않는다고 한다. 엔터회사 하나하나가 플랫폼이 되어 종합적인 문화를 생산해 내는 방식으로 될것이라고 한다. 대표가 신념을 가지고 있는 한 회사, 그리고 현재 세계의 정상에 올라가 본 한 회사. 두 회사의 5년뒤 그리고 10년뒤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