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블러드
임태운 지음 / 시공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서평은 출판사 이벤트에 선정되어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화이트 블러드는 우주를 탈출해 새로운 행성으로 가는 우주선에서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우주공간에서 동면을 하고 개척 행성으로 나아가는 모습인 영화 패신저스를 떠올리게 한다. 책을 읽고 상상이 잘 안된다면 영화 패신저스를 보면서 소설에 등장하는 여러 모습을 볼 수 있을 것 같다.

지구를 탈출한 두번째 방주 엘리에셀은 40년 전 지구를 떠난 첫번째 방주 게르솜을 우주 공간에서 발견했다. 원래대로라면 게르솜 우주선은 행성 카난에 도달해 테라포밍 혹은 개척지 건설을 시작했어야 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게르솜은 우주 한 공간에 멈춰 있었고 엘리에셀을 통제하는 AI 마리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동면에 들어가 있는 탑승객을 깨웠다. 마리는 가장 먼저 일등 항해사를 깨운 후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백혈인간을 깨울것을 제안했다.


백혈인간은 인간보다 여섯배쯤은 강하고 고통과 혹한과 폭염을 느끼지 못하며 우주공간에서도 20분쯤은 살아있을 수 있는 개조인간(?)이었다. 생존확률이 10%도 안되는 수술을 통해 혈액과 근골을 모두 바꾼 이들은 백혈인간이라 불렀고 개척행성에서 유혈사태를 막기 위해, 우주항해중 발생하는 비상상황을 위해 엘리에셀에 함께 탑승했다. 그러나 치명적인 단점도 있었으니 심장에 장착되어있는 장치를 통해 백혈인간이 순혈인간에게 위해를 가할 경우 곧바로 사망하게 되어 있었다.


지구에서 인류가 탈출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바이러스 때문이었다. 특수 광견병이 발발하여 인류는 멸망으로 내몰렸고 생존자들은 한데 모여 지구를 탈출하여 새로운 행성으로 이주할 계획을 세웠다. 그렇게 출발한 첫번째 우주선이 게르솜이었고 두번째가 엘리에셀이었다. 이도는 자신의 동료 보테로와 카디야와 함께 게르솜에 진입하고 게르솜이 멈춰선 원인에 대해 조사를 시작했다. 조사를 해 보니 게르솜 내부에서도 특수 광견병이 발발했고 대응방식에 대해 의견이 나뉘어 승무원들간에 내전이 발발했기 때문이었다..


화이트 블러드는 최근 읽은 SF소설 중 가장 SF다운 소설이다. 물론 좀비 아포칼립스적인 내용이 있긴 하지만 내가 기다려왔던 SF소설에 가깝다. 일단 거대한 우주선이 등장하고 냉동캡슐이 등장한다. 또 인류는 새로운 행성을 향해 이주를 하고 게르솜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사건에서 각종 로봇과 우주공간 혹은 우주선에서 사용할 법한 것들이 등장한다. 또 카디야가 사용하는 레일건이나 백혈인간의 혈액속에서 작동하는 나노봇 등. 두꺼운 소설이었으나 읽기는 수월했고 재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