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국경의 로큰롤 - 세계화 시대 이주와 시민권 문제
링쿠 센 & 페칵 맘두 지음, 배미영 옮김 / 이후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다보니 미국사람

 

이 책의 원제가 무엇인지 싶어 찾아보니 The Accidental American이었다.

어쩌다보니 미국사람이 됐다, 그런 의미인 것 같다.

하지만 그 과정은 '어쩌다'라는 말로는 도저히 덮을 수 없는, 엄청나게 험난한 과정이다.

 

이 책의 주요 인물들은 제대로 말하자면, 어쩌다보니 미국인이 된 사람들은 아니다.

물론 미국에 이민 온 부모에게서 태어나 미국인이 된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은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이유로 불법으로 미국에 입국한 ‘불법외국인’, ‘불법노동자’이다.

 

그리고, 9/11이 터졌다.

안 그래도 살기 힘든데 아랍인이거나 아랍인처럼 생겼으면 무슨 일을 당할 지 모르는 시절이었다.

 

그래서 이들이 하나로 뭉쳤다. 그 과정이 참 흥미롭고 아슬아슬하고 안타깝고 웃음도 나온다. 우스꽝스러워서가 아니라 여유를 찾아가며 유머를 잃지 않는 모습 때문이다.

그들의 노동운동과 미등록노동자의 신분과 처우 개선 운동은 결국에는 백인 미국인까지 동참하게 만든다! 이건 정말 놀랍고 자랑스러워 할 만하다.

 

뉴욕에 가면 이들 용감한 ‘진짜’ 미국인들이 모여 만든 협동조합 레스토랑 ‘칼러즈’에 한 번 가보고 싶다. (언제 가지? 그때까지 잘 굴러가고 있기를!)

한 가지 더.

협동조합은 정말 쉽지 않다는 것. 하지만 조금씩 양보하면 정말 괜찮은 거라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센티멘털리스트 - 한번쯤은 이해하고 싶었던 아버지
조해나 스킵스루드 지음, 배미영 옮김 / 이후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도 가족도 다 내버리고 사라졌던 아버지가 돌아왔다.
 
돌아온 아버지는 돈을 벌어오지도 않았고 가족에게 심리적인 보상을 할 시도도 하지 않는다.
딸은 아버지를 원망하지는 않지만, 상황이 나빠지자 아버지를 차에 태워 멀리 '버리고' 온다.
미국식 고려장 같기도 하다. ('고려장' 장소는 캐나다의 한 수몰지역에 사는 지인의 집이다.)
 
하지만 그 딸은 애인의 배신을 목격한 뒤 내다버린 아버지 곁으로 가서 거기 머문다.
그리고 거기서 물에 잠긴 마을의 추억과 베트남에 묻고 온 아버지의 상처가 서서히 수면 위로 올라온다.
 
최근 '힐링'은 만능어가 된 느낌이다. 어디에나 힐링을 갖다붙여 이제는 의미가 퇴색되고 왜곡될 정도다.
이 소설은 충격적인 반전이 있는 것도 아니고 가슴을 먹먹하게 하는 신통한 '힐링'도 없다.
그런 시도조차 하지 않는다. 그런데 그 점이 오히려 끌린다.
 
아버지가 정상적인 삶을 포기할 수밖에 없게 한 베트남의 사건도 도대체 종잡을 수 없을 정도이다.
그저, 진실이란 것이 그렇게 쉽게 밝힐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차분히 말해준다.
그리고 힐링이 말처럼, 유행처럼, 쉽게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라고 한다.
 
베트남을 소재로 한 소설은 많지만 어느 지역의 수몰이라는 사건과 영화 <카사블랑카>를 연관지어 흥미롭기도 하다.
이 소설은 선물로 받아 읽었는데, 얼마 전 아버지와 다툰 뒤 마음 아파하는 친구가 생각 나 나도 그 친구에게 선물할 생각이다.
괜찮은 선물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센티멘털리스트 - 한번쯤은 이해하고 싶었던 아버지
조해나 스킵스루드 지음, 배미영 옮김 / 이후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