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귀신 - 조선시대 여인의 한과 복수 키워드 한국문화 6
최기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이야기 좀 들어볼래?" 라며 처녀귀신이 말을 건다.

정말이지, 이런 책은 예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책이다!

매 해 여름마다 ’공포의 대상’이었던 처녀귀신을
’안쓰러운 존재, 가련한 여인’으로 인식을 탈바꿈하게 하는 놀라운 책!



나는 이 책 덕분에 더 이상 ’처녀귀신’을 무서워하지 않게 되었고
오히려 귀신과 대면하게 되면 그녀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싶어졌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는 저자인 최기숙 교수을 몹시나 뵙고 싶어졌다.

고전소설 속에 등장하는 처녀귀신을 분석하고, 이것을 당시 시대 사상과 문화적 요인으로 해석하는 작업을 하시다니!
정말 놀라웠다.

고전소설 속 처녀귀신은, 
살아있을 때는 꽃다운 아름다움과 수줍은 미소를 지닌 여인이었다.
그러나 그녀는 유교적 사상을 기반으로하는 여성성(정절, 모함 등)이 타인으로 인해 훼손되어지는 순간
죽음을 택하거나, 죽임을 당하게 된다.
그녀는 한을 지닌 혼령이 되어, 자신의 억울함을 풀어 줄 대상을 찾아 이승을 떠돌게 되는 것이다.

당시, 살아서는 의사 표현이나 자신에 대한 변호를 할 수 없는 ’사회적 약자’인 여성이
죽어서야 혼령이 되어.. 본인의 이야기를 똑바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선시대 여성에 대한 사회적 관념이, 그녀를 ’처녀귀신’으로 만든 것이다.

그리고, 사람들이 귀신에 대해 지니는 두려움, 공포는..
진짜 귀신이 무서운 존재라기 보다는 귀신이 본인에게 해를 가할지 모른다는 두려움..
그 이면에는 결국, 내가 무언가를 잘못했을 것이라는 ’죄책감’이 공포로 전환된 것이다.

책 속 내용 중에... 고전소설 ’장화홍련전’의 뒷 이야기를 들으면 그 ’공포’란 무엇인지 명확히 알 수 있다.

두 자매가 계모의 계략과 모함에 의해 죽게되고.. (당시, 그녀들의 친아버지는 방관자적 존재로 딸들을 보호하지 않는다)
그녀들은 억울함을 풀기위해 처녀귀신이 되어 등장, 결국에는 계모가 처벌받는 권선징악의 이야기이다.
나는 이것이 이 이야기의 끝인 줄 알았다. 

그러나, 고전에는 뒷 이야기가 있다.
그 두 자매는 아버지의 셋째 부인의 쌍둥이 딸로 환생한다.
같은 얼굴을 한 쌍둥이 자매의 탄생.. 
아버지는 그녀들을 보자마자 얼마나 무서웠을까?
상상만으로도 오싹하다. 
이것이 바로 ’처녀귀신’이 전하는 ’공포’라는 것이다.

사람이 아닌 ’요물’로서의 처녀귀신이 아닌
사회적 약자이기게 보호받지 못하고, 본인을 지키는 방법이 없던 시대의 그녀들.

그녀들은 무서운 존재가 아닌 안쓰럽고 가련한 존재이다.

우리가 고정관념처럼 생각하던 것들이, 
그 이면에는 이리도 놀랍고 새로운 인문학적 사상과 시대적 배경이 있었다는 것에
너무 큰 깨달음을 얻었다.

이래서 인문학을 공부하는 것인가보다.

쉽게 한국문화를 알려주고 소개해준 ’키워드 한국문화’ 시리즈와 ’처녀귀신’ 책, 진심으로 좋은 책이다!

올 여름, 처녀귀신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만드는 책. 
그녀의 이야기를 찬찬히 들어보고싶게 만드는 책!
강추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