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축구, 양주의 골프 즐겁고 발랄한 동아시아 문명 시리즈 1
이호영 지음 / 책밭(늘품플러스)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자의 축구, 양주의 골프> 내용을 읽기전에 책 날개에 적힌 저자 소개를 읽었다. 그것은 아마도 저자 이호영이 쓴 이 책 내용의 분위기를 추측할 수 있는 결정적 단서가 될 것이다.

저자는 춘추전국시대 공자와 전국시대 양주를 "축구"와 "골프"로 대별시켜 설명하고 있다. 공자 사상의 흐름은 팀플레이를 중시하는 축구와 비슷하고, 양주의 사상의 핵심은 개인 플레이를 우선으로하는 골프와 닮아 있다는 것이다. 어찌보면 두 사상은 너무 다른 것 같기도하지만, 이호영은 두 사상 모두 "플레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는 듯 하다. 어떤 사람은 "동호회" 라는 조직문화속에서 즐거움을 느낀다. 하지만 또 다른 사람은, 조직을 벗어난 상태에서 행복을 느낀다. 그 둘은 서로 다르지만 닮아 있다.

이 두 사상의 "플레이"에서 저자 이호영은 즐거움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너무나 문명화된 현대사회 속에서 공자의 학문은 딱딱하기그지 없는 장광설로, 양주의 사상은 귀족계급의 이기적 행복론으로 치부되어야만 할까? 그는 이런 의문에서 글을 쓰게 된 것이 아닐까 싶다. 시간적으로 너무 먼 것은 어쩌면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할지도 모른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멀게만 느껴졌던 공자와 양주를 불러내어 현대적 상황으로 초대한다.

분량상 공자의 이야기가 더 많은데 그것은 공자의 사상을 엘리아데의 '궁정사회론'과 연결해서 비교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호영은 공자의 신분 배경을 설명하면서, 공자가 글이나 읽는 선비가 아니라 새로운 역사를 여는 지식계층이었다고 말한다. 공자의 이상형 인간상인 "군자"는 엘리아데의 문명론에서 18세기 부르조아와 유사하며, 공자의 "도" 개념역시 야만에서 문명으로 넘어가는데 필요한 사상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굳이 엘리아데를 공자와 연결시키려한 이유를 나는 잘 모르겠다. 오히려 개인을 중시하는 시초가 공자에게서도 발견되며(爲己之學), 그것의 극대화가 동양 사상에서는 양주였다라는 논의가 더 낫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의문을 던져본다. 또한 전적으로 시대가 다른 두 사상가를 비교하기 보다는 오히려 동시대인인 맹자와 양주를 비교하는 것이 낫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사상가 양주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발견했다. 양주는 그저 쾌락주의자라고만 알았는데, 어쩌면 양주에게서, 동양 사회에서 개인에 대한, 혹은 개인의 감각 추구에 대한 시발점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면 조직화되고, 감각이 둔마되는 이 사회에서 양주의 발견과 재해석은 우리 삶에 생기를 넣어줄지도 모른다는 바람일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