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 문지아이들 163
김려령 지음, 최민호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려령작가의 <완득이>를 만났던 시기의 나는 매우 지쳐 있었던 것 같다.

엄마라면 이래야지,,, 아이를 키우는건 행복한 일이니까 힘들어도 참아야지...

무언가 규정된 틀에 적응하고 싶지 않아하는 나는 그야말로 초보엄마였다.

 

그런 우울한 기분으로 우연히 읽게 된  <완득이> 덕분에 참 많이 웃고 힘이 났었다.

힘든 삶의 단면을 유쾌하게 그려 낼 수 있다는게 놀라웠던 김려령 작가의 신작이 나왔다.

 

제목부터 피식 웃음을 짓게 만든다.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이라니...

 

 우리집에도 아무 것도 안하고 싶어하는 초등학생 두 명이 있지 않은가.

 아무 것도 라는 말에는 학교, 학습, 책읽기 등등 하기 싫은 것이라는 의미인데...

 

 이 책에 나오는 현성이는 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이사와 전학을 경험하게 된다.

 10대엔 무작정 새로운 환경을 꿈꾸기도 하지만,,, 현실은 녹녹치 않게 흘러간다.

 

 꽃을 팔지 않는 꽃집으로 이사를 왔더니, 빨랫줄엔 아빠옷이 사라졌으며,

 가만히 있을 뿐인데도 속상한 공간이 되어 버린다.

 

 하지만 10대들에겐 집 보다, 가족보다 나를 잘 이해해주는 친구가 있다.

 부모님의 이혼과 새엄마의 임신으로 자기의 공간이 사라진 장우.

 

두 녀석은 사람들이 떠나고 비어 있는 어느 꽃집 하우스를 아지트 삼아 버린다.

그렇게 시작된 아무것도 안하기...

 

제목과 목차의 문장들은 모두 역설적이다.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지만 무언가를 하고 있을 수 밖에 없는 아이들.

 

나의 이야기이도 했고,

우리 아이들의 이야기가 될 것이며,

지금도 진행되고 있는 10대들의 이야기이기에

읽을 수 밖에 없는 이야기다.

 

정말 아무것도 하지 않고도 실컷 웃는 날이었다. - P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