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생각하고 말하는 사람이 되기로 했다 - 말에 품격을 더하는 언어 감수성 수업
홍승우 지음 / 웨일북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에 품격을 더하는 언어 감수성 수업"에 걸맞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어떤 상황을 또는 누군가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무수한 표현들을 한데 모아 다루고 있는 책으로서, 엄격한 비판이라는 잣대를 두고 그 무게를 진지하게 고민할 수 있는 사례들이 무수히 많다. 아무렇지 않게, 즉 무심결에 내뱉는 말들이 사회적으로 부적절한 혐오가 될 수 있음을 또는 누군가를 무력하게 만들 수 있음을 인식하며, 보다 단어선택에 품격을 더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는 말들이 이 책 안에는 무수히 쌓여있다. 또는, 지나치게 체념과 자포자기하는 감정만을 일컫는 단어를 너무 쉽게 남발하는 건 아닐지 들여다봄으로써, 지금의 우리에게 필요한 자세는 무엇일지 진지하게 논의하는 내용들 역시 많다.

무분별하게 남발하는 특정 단어선택,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이 사회에서는 부적절할 수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나 역시, 무비판적으로 자주 사용해왔던 "선택장애" "관심종자" "짱깨""갑분싸" 등의 표현들. 지나치게 타인을 배제하지는 않을지 이야기한다. 가령, 사람들은 누구나 인정과 관심을 바라기 마련인데, 너무나 가볍게 '관심종자'라 부르며 조롱하듯 하는 지금의 모습에 대해 비판의 잣대를 들이댄다.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을 가리켜, '장애'라는 특정단어를 지나치게 남발하고 있는 지금, 장애인들에게는 또 하나의 상처가 되지는 않을지 깊이있게 들여다본다.

'~충'과 같이, 상호존중보다는 혐오와 조롱을 앞세우는 표현들은 어떨까? 금수저/흙수저와 같은 표현을 반복사용하며, 우리는 그저 자포자기하고 체념하고만 있는 건 아닐까? 관상도 과학이라는 논리를 앞세워, 특정 범죄를 저지른 사람과 얼굴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욕을 하고 있는 일부의 모습을 어떻게 봐라봐야 할까? '머머리'라는 표현을 써가며 탈모인을 조롱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상의 표현들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흥미롭고 다채로운 질문들이 등장한다. 그 질문들, 질문의 배경이 되는 주변 상황들, 이에 대한 대답들 등의 연이은 이야기들 속에서, 이 책의 저자는 우리가 좀 더 품격있는 언어생활을 추구해야 함을 강조한다. 다른 사람들이 한다고 나 역시 똑같이 하기 보다는, 나라도 품격있는 언어를 영위하며 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음을 이야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