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지혜의 습관 - 무엇이 그들을 강인하게 만들었는가 좋은 습관 시리즈 9
김정완 지음 / 좋은습관연구소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대인들의 생활습관을 다룬 EBS의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다. 흰 수염을 길게 늘어뜨리며 경전연구에만 몰입하고 있는 '랍비' 그리고 랍비가 되기 위해 수많은 학생들이 치열하게 학습하고 토론하고 질문하는 모습. 종교라는 테두리뿐만 아니라 아이들에게 늘 배움과 질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 명의 어머니의 모습을 통해 드러나는 특별한 유대인 가정의 모습.

"오늘 선생님 말씀 잘 들었어?" "오늘 학교수업이나 시험은 잘 했어?" 등 항상 결과중심적 관점에서 늘 삶을 다루는 한국.

"오늘은 어떤 새로운 걸 배웠어?" "오늘은 어떤 질문을 해봤니?" 등 항상 과정 중심적 관점에서 늘 삶을 다루는 유대인.

한국과 전혀 다른 유대인의 특별한 문화에 관심과 흥미를 갖게 된 이래, '유대인 지혜의 습관'을 읽어보며, 한국인과는 다른 유대인의 특별한 마음가짐과 자세를 느껴볼 수 있었다. 똑같은 수명의 인생을 살아가지만, 그 인생을 무엇으로써 채워넣고 무엇을 향해가게 할 것인지는 충분히 다를 수 있다. 학교생활, 직장생활 그리고 결혼생활 나아가 가정생활 등 우리 한국사람들과 다를 바 없는 생활을 영위하는 유대인들은 그 판에 박힌 생활을 어떤 마음으로 임하는 것일지 궁금증을 해소해가며 읽다보니 남다른 흥미를 느낄 수 있었다.

신을 섬기는 사람으로서, 유대인은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 자체가 남달랐다. 자신이 지금 살고 있는 이 삶은, 신에게 선택되고 결정된 소중한 시간이다. 지금 이 순간 그리고 이 곳에 살아있는 것은, 감히 헤아릴 수 없는 신의 특별한 생각이 합쳐진 덕분이다. 바로 여기에서 유대인들은 청결과 감사 그리고 절제 등의 윤리적 자세를 이끌어 낸다. 이는, 자연과 동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자연과 동식물은 내가 권위적으로 편익을 추구할 수 있는 수단이 아닌, 함께 살아가는 동등한 세입자이다. 여기에서는 동물복지와 가족과 공동체에 대해 헌신할 수 있는 특별한 윤리관이 비롯된다.

신의 의지와 섭리를 믿고 살아가는 유대인들에게, 진실은 감히 '이것은 이것이다. 저것은 저것이다'라고 간단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끊임없이 고민하고 토론하고 질문하며, 늘 배움을 게을리 하지 않음으로써 늘 한단계 한단계 정진하는 것만 있을 뿐이다. 여기에서는 내가 제일 와닿았던 주제 '질문' '대화' 그리고'논쟁'과 '히브루타' 등의 특별한 가치관이 탄생한다.

신의 의지와 섭리, 경전인 토라와 탈무드 등 단순한 종교적 색채를 넘어, 이 책을 통해 느낄 수 있었던 것은 '겸손함'이었다.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동식물과 자연 그리고 사람들에 대한 '호기심'이었다. 토론과 논쟁을 통해 고민과 생각의 양을 높이며 더 나은 삶을 추구하는 '미래지향적 가치관'이었다. 신의 의지가 접목된 지금의 삶에 대한 남다른 '감사함'이었다.

이 4가지가 곧 유대인의 특별함을 결정짓는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나름 책 내용도 읽기도 쉽고 이해하기도 쉬워서 빠르게 읽어나갈 수 있었다. 비록, 더 생생한 사례들이 많았으면 어땠을지 하는 조금의 아쉬움도 있겠지만, 다양한 주제를 통해 특별한 삶의 지혜를 배워나가는 데는 적어도 부족함 없는 시간이었다고 생각한다.

다시한 번 이 책을 읽어보면, 그 때에는 어떤 새로운 느낌과 질문을 갖게 될지 궁금하다. 이번에는 전혀 다른 질문을 던져보며 더 새로운 방식으로 느껴보고 싶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