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서 편안해지는 심리학 - 사람이 가장 힘들었을 당신을 위한 관계 수업
미즈시마 히로코 지음, 김진연 옮김 / 좋은날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날들 #불안해소 #미즈시마 히로코 #심리학 #관계수업




학교도 다녀야 하는데, 앞으로 몇 십년을 회사에 다녀야 하는 데, 또는 가족과 함께 해야 하는데 관계가 불편하기만 하고 피하고 싶기만 하다면 어떻게 할까? 내가 '나답게' 존재하지 못하는 만큼 그저 관계를 그만두는 게 산책일까? 이 책이 처음부터 줄곧 이야기하고자 하는 내용의 주제는 '불편한 사람들로 인해 더 이상 자유를 제약받지 않고, 좀 더 편안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이다.

이 책의 저자는, 자신의 병원에 내담하는 수많은 환자들이 이야기하는 불편한 관계를 구체적으로 분류한다. 특히, '컨트롤 할 수없음'과 '나만의 영역에 대한 상대방의 침범행위' 2가지를 기준으로 다양한 주제들을 상세하게 풀이했다. 지나치게 의존적인 사람, 아무렇지 않게 나를 평가하는 사람, 자신의 단순한 상상을 옳다고 일방적으로 단정짓는 사람', 상식이란 걸 기대할 수 없는 불편한 사람 등 그 수많은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 불편한 사람들에 맞서 흔히 많은 사람들이 내리는 선택은 그저 '회피'이다. 자발적으로 선택의 자유를 내려놓는 행위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미즈시마 히로코는 우리에게 개인주의가 될 것을 요구한다. 내 영역과 상대방의 영역이 근본적으로 실재하고 분리되어 있음을 분명하게 인식해야 삶이 보다 편안해질 수 있음을 적극적으로 설득한다. 이 말은, 상대방의 영역에서 머물법한 생각과 내용을 내 영역으로 끌고오지 말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표출되는 감정과 분노 그리고 슬픔 모두 그 상대방이 갖는 특별한 사정과 생활양식(Systemetic Thinking) 그리고 내재된 상처 등이 한데 맞물려 폭발하는 것이다. 이를 자신이 자발적으로 내 잘못으로, 내 문제로, 그리고 '내가 원인이라는 생각' 등으로 끌어들이지 말아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이렇게 생각하는 구나"

"불안해서 아파하는구나"

"이런 사정이 있겠구나"

"특유의 꼼꼼함때문에 이런 생각을 하는군요"

등의 표현들이 갖는 공통점은 상대방의 표현과 감정을 전적으로 상대방의 영역에서 바라본다는 것이다. 상대방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정도로 멈추면 내 마음은 자연스럽게 독립되어 '컨트롤할 수 없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불안'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내 마음을 상대방으로부터 독립시키는 행동'의 의미, 그리고 강점 나아가 더 건강한 관계에 기여할 수 있는 어마어마한 잠재력을 수많은 사례들과 방법론들을 함께 곁들여 설명한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의 이야기에 공감했다. '합리주의 개인주의자'가 됨으로써 자존감을 회복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뜨거운 붐을 형성하던 때가 꽤 있었기에, 나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도 함께 공감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