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2 - 세 나라가 성장하다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2
금현진.손정혜.주유정 지음, 이우일.박소영 그림, 홍기승 정보글, 임기환 감수 / 사회평론 / 201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하면 벌써 어렵게 생각하고 복잡하고 외워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아이들이 부담을 갖는 과목중에 하나이지 싶다.

박물관을 많이 다니면서 조금씩 역사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역사 책도

함께 읽어 보는게 좋다는 생각에 처음에는 초5학년 교과과정을 생각하고

교과과정에 나와 있는 이야기를 토대로 찾은 책들을 읽어 보았지만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는 조금 그런 책과는 다른 느낌이 든다.

설명위주의 역사책과는 다른 용선생과 역사반 친구들 각기 다른 특색을 가지고 있는

친구들과 괴짜 역사샘이 어우러져 지루함은 잊고 술술 넘어가는 것이 재미 있다고

1권도 재미나게 읽었는데 2권에서는 삼국시대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 지는데

과연 이번에는 용선생님과 역사반 친구들에 여정이 펼쳐질지 책을 펼치기도 전에

흥미진진할 것 같은 예감이 들었다.

고구려,백제,신라가 주축이 되어 한반도 역사를 이끌던 시기를 '삼국시대'

세 나라는 때로는 다투고 때로는 도우면서 이전보다 발전된 문명을 이룬

삼국시대를 지금 2권에서 1교시 고구려 시대를 시작으로 7교시까지

삼국시대를 알아 본다.


1교시 - 사람이 알에서 태어났다고?

주몽,온조,박혁거세,김수로 각각 고구려,백제,신라, 가야에 얽힌 건국 신화의 주인공들이다.

신화의 주인공들인 만큼 이들은 탄생부터가 예사롭지 않게 알려져 있고

왜 사람이 알에서 태어 났을까?하는 의구심도 생길만 하다.

지난 몇년전에 TV를 통해 아직 역사라는 것 조차도 모를 때 주몽이라는 프로그램을 우연히

보고 드라마라는 것 때문에 각색은 많이 되었지만 그래도 역사적인 큰틀 속에서 전달하는 메세지가

큰아이에게는 아직도 기억이 생생하다고 한다.

이렇게 역사는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역사의 대한 생각이 달라 지는 듯 하다.


이렇게 역사적인 신화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만화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전개되어 있는 이야기가 삼국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에 대해

관심을 더 끌게 한다.


좌측에는 고구려 무덤인 장군총

중국 길림성 집안시에 있는 규모가 커서 왕의 무덤으로 추정을 하고 있다.

고구려 사람들은 돌을 쌓아서 무덤을 만들었다고 해서 이런 무덤을 '돌무지무덤'일라고 한다.

우측에는 서울 송파구 석촌동에 있는 백제 무덤이다.

고구려의 돌무지무덤과 비슷하게 생긴 것을 보년 백제를 세운 사람들이 고구려에서

왔기 때문에 그런것일지 모른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역사속에서 일어난 일들을 여러 사건과 인물들 이야기를 읽다보면

정리가 되지 않고 잠시 헷갈릴 수도 있는데 나선애 정리노트 방법을 보면

절대 잊어 먹지도 않을 것 같다.

1교시가 끝나면 나선애의 정리노트를 꼼꼼하게 읽고

다시 정리하는 마음으로 한국사 퀴즈 달인을 찾아라! 코너에서는

한번 더 정리를 해보아서 좋다.




이번 5학년 1학기 사회 과목도 단원 마무리를 몇장 두고 있는데

이렇게 한단원씩 정리를 해 보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고

교과 과정과 설명이 잘 되어 있어서 사회라는 역사적인 이야기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때론 지루하고 하기 싫어할 수 있는 과목인데

이런 용선생님처럼 지루하지 않으면서 쉬우면서도

꼭 알아야 하는 것들에 대해서 콕콕 집어서 즐겁게 수업을 해주신다면

우리 역사 문제 없을 듯 하다.

삼국시대에서는 나라간의 교류가 많고 서로 도우면서도 다투기도 한

시대적인 흐름을 지도를 통해 쉽게 설명이 되어 있어서

스스로 지도를 그려가면서 설명을 하면서

삼국시대에 대해 알아가는 재미 또한 좋다.

우리 역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쉽게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면

용선생님을 만나면 생각이 달라지지 않을까?

만들기 좋아하는 하는 민이는 이번에는 책자를 만들어 보겠다고 하면서

역시 똑소리 나는 알파걸 나선애가 펼치는 삼국시대 go~라는 제목과 함께


나선애를 그려주고

책 속에 들어갈 이야기를 적어 보고 있어요.


책을 읽고 스스로가 정리를 해보면서 역사의 흐름을 하나씩 알아가는

재미를 알게 되면서 이제는 역사가 즐거워 진다고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