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 지도 따라 굽이굽이 역사 여행 500km 아이세움 지식그림책 30
김하늘 지음, 박지훈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외출하다가 보면 꼭 한강을 건너가면서 한강의 시작은 어디일까?

궁금해 하는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책이 이번 아이세움에서 나와서 함께 읽어 보았답니다.




한강은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금대봉 아래에 있는 검룡소에서 퐁퐁 솟아올라 서해 바다까지

힘차게 흐르는 강을 말한다고 하네요.

검룡소를 떠난 말은 골지천이라는 곳으로 흘러 강원도 정선에 있는 아우라지에서 송천과

만나 조양강이 되고 정선읍에서 동남천과 만나 동강이 되고,

동강은 다시 영월에서 서강과 만나 비로소 큰 강이라는 뜻인 "한강"이랍니다.

 

옛날에는 한강을 아리수라고 불렀다고 해요. 지금 서울 수돗물 이름으로 쓰이고 있지요.

아리수라는 이름은 고구려 광개토대왕비에서 나오는데 '크고 넓은 물'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한강이 시작되었다는 검룡소에 얽힌 전설 이야기까지 나와 있어서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한
역사적인 이야기까지 함께 나와 있어서 한강의 대한 새로운 것들을 많이 알게 되어
책장을 넘길때마다 한강이 머릿속에서 그려지는 듯 했답니다

평창강 선암마을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반도와 꼭 똑같이 생겼지요.
정선 땅을 흘러온 동강이 영월 땅으로 들어서서 서강을 만나 한강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는 곳이랍니다.
영월 땅을 적시며 흐르는 강과 산에는 단종 임금과 왕방연,그리고 세상을 등진 김삿갓에 얽힌 슬픈 이야기들도 전해지고 있다고 하네요.

우리 역사속에 인물들을 떠오르면서 또 역사적인 인물과 강의 얽히 이야기도 참 흥미롭게 느껴지는 부분이였답니다

서울로 들어오는 한강 들머리 남쪽을 시작으로 백제 시대 수도였던 하남 위례성으로 짐작되는 풍납토성과 그 배후 성인 몽촌토성이 있고 좀 더 서울로 깊숙이 들어오면 북쪽으로 조선과 대한제국 수도였던 한양성이 보입니다.

서울을 가로지는 한강은 많은 다리가 놓여져 있고 그 다리에는 또 우리가 알지 못했던
유래와 그리고 주변 곳곳에 우리가 체험할 수 있는 곳이 참 많다는 것을 이번에 알았습니다.

우리나라 수도 서울을 가로지르는 한강

오랜 엣날부터 사람들은 한강가에 살며,한강 물을 마시며 농사를 짓고 한강에 배를 띄워

물자와 사람들을 실어 날랐던 한강.

선사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역사를 품고 지금도 한강은 힘차게 흐르고

있답니다.

아이들과 한강 역사이야기 참 재미나게 읽었네요.

한강에 가기전에 한 번 아이들과 이 책을 읽어보고 가면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