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비, 성균관에 들어가다 - 옛날 공부법으로 본 우리 역사 처음읽는 역사동화 2
세계로 지음, 이우창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날에는 어떻게 공부를 했을까?

성균관이 뭐길래 이선비가 성균관에 들어갔다는 것일까?

책을 보자마자 웃음기를 가지고 책장을 넘기는 작은 아이는 지난 tv에서 본 드라마가 먼저 떠올랐는지 그 성균관이 맞냐고

물어 보는데 ㅎㅎ 맞구나 그때 성균관이 있었지. tv를 보면서 성균관에 대해 잠시 설명을 해주었던 기억이 나는지

그 궁금증을 가지고 열심히 책을 읽는 모습이 참 이쁘게 보였답니다.

 

지금의 우리 대학교와 같은 곳인 고려 시대 세워진 성균관에  호기심이 많아 가는 곳마다 좌충우동 사건을

일으키는 조선 시대 선비 이세로라는 이선비가 엄격한 규칙과 어려운 공부를 하는 바로 성균관에 들어가서

여러 사건들이 벌어지는 이야기를 참 재미나게 펼쳐진답니다.

옛날에는 어떤 공부를 했을까?하는 궁금증에 이야기를 읽다 보니 본문 중간에 그 시대에 공부를 어떻게 했는지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시대의 학자들은 어떤 공부를 했으면 지금 우리 아이들에게 중요하게 여기는 독서법에 대해서도

알려주고 있답니다.

조선 시대의 최고의 학자였던 이이는 책은 그냥 눈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책을 통해 얻은 지혜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늘 생각하면서 독서해야 한다고 했고,다산 정약용 선생이 말하는 최고의 독서법은 매번 한 글자라도 뜻이 분명하지 않은 것을

만나면 끝까지 자세하게 살펴 그 원인을 알고 차례차례 설명하여 다시 자신의 글로 쓰는 것을 날마다 하면 한 권의 책을 읽어도

백 권의 책을 함께 읽는 것과 같을 뿐 아니라 책의 의미도 분명하게 꿰뚫어 알 수 있다고 말을 했다고 합니다.

 

이세로라는 이선비로 인해 성균관에 대해 쉽고도 재미나게 알아가는 이번 이선비 성균관에 들어가다 책은 초등에 다니고

있는 저희 아이들에게 성균관으로 조선시대라는 시대적으로도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좋은 책읽기가 되었답니다.

주말을 이용해 아이들과 성균관에 한 번 다녀올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