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가진 정원 - 2019 칼데콧 아너 상 수상작 밝은미래 그림책 42
브라이언 라이스 지음, 이상희 옮김 / 밝은미래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실감이란 무엇일까요?

무언가를 잃어버린 후의 느낌이나 감정 상태

네이버 국어사전

그 무언가가 가까운 친구나 가족이라면 큰 상실감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겠지요?

제목과 표지 그림만으로는 유추가 힘들었던 브라이언 라이스 《망가진 정원》 (원제는 The rough patch)이 이 상실감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어요.

 

읽으면서 쉽게 다음장으로 넘기지 못했고 쉽게 책장을 덮지 못했어요.

그림이 살아 움직이는듯 한편의 영화를 본 거 같이 마음 한켠이 찡 했습니다.

이는 경험자의 입장이기도 했고 앞으로 우리 아이가 겪을 일이기도 해서 그런듯 해요.

에번과 그의 멍멍이는 모든걸 함께 했어요.

함께 뛰어놀고, 함께 음악을 듣고, 함께 정원을 가꾸고..

그렇게 꾸민 정원은 무럭무럭 멋지게 자랐습니다.

에번의 멍멍이가 떠나기 전까지는요.

어떤 말도 어떤 글도 필요없는 한 장면

멍멍이는 그렇게 에번 곁을 떠났어요.

그 후 모든것이 바뀌었습니다.

멋진 정원은 잡초가 무성해지고 에번은 이렇게 분노하고 힘들어했지요.

가장 행복했던 곳이 가장 쓸쓸한 곳이 되어버렸어요.

이렇게 에번은 멍멍이가 떠난 상실감에 힘들어 합니다.

사랑하는 이가 떠난 그 자리

언제고 그렇게 쓸쓸하고 상처뿐일까요?

작가는 상실감을 이야기 하면서 마지막엔 희망을 보여주고 있어요.

멋진 곳이 오래도록 텅 빈 채 버려지는 법은 없어요.

반드시 무엇인가 자라나기 마련이지요

에번의 그 자리엔 커다란 호박이 자랐고 조금씩 스스로를 치유하기 시작합니다.

에번은 어떤 결말을 맞을까요?

멍멍이가 떠난 자리 다른 무언가가 채워줄까요?

분명한건 희망을 이야기한다는거


올해 7살이 된 차니

매일 함께 유치원을 가던 단짝 친구가 3월부터 다른곳으로 옮기게 되었어요.

이 일을 어쩌나.

그 친구 없이 등원하는 날이면 눈물이 글썽했는데 말이죠 ㅜㅜ

차니가 곧 경험할 상실감과 허전함

아직 이런 의미도 모르는데 저에게 큰 걱정으로 다가오네요.

하지만 상실감 뒤엔 희망이 있듯이 새로운 친구도 사귀고 씩씩해지리라 믿고 있어요.

에번처럼 강하게 이겨내리라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