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로 보는 단테의 신곡 명화로 보는 시리즈
단테 알리기에리 지음, 이선종 엮음 / 미래타임즈 / 201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글에 그림을 더하면 상상력은 줄어들까 늘어날까? 내가 읽고 있는 장면이 이런 모습이구나 하고 생각하게 될까, 아니면 내 상상과는 다르구나 라고 생각하게 될까? 분명히 그림과 함께 보는 글은 상상력에 제한을 받을 수도 있지만 <명화로 보는 단테의 신곡>은 그동안 문장을 읽는데만 급급해서 장면을 고민하고  떠올려 보려는 노력을 하지 않던 나에게는 상당히 도움이 됐다.

사실 단테의 <신곡>은 한 장면 한 장면이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한다. 그 때문에 5학년 때 쯤 처음으로 <신곡>에 도전했을 때는 ‘지옥편’을 조금 읽다가 포기해 버릴 수밖에 없었다. 글을 보고 어떤 장면을 상상한다는 생각은 없었지만 책을 읽기가 너무 무서웠기 때문에. 어린아이가 느끼는 공포와 두려움을 다 큰 어른들이 느낄 리는 없지만 그 느낌은 분명히 수많은 예술가들을 자극하지 않으려야 않을 수가 없었을 것이다. 당연히 많은 사람이 <신곡>에 나오는 장면을 자기 예술의 모티브로 삼아 그림을 그렸고 그 그림들을 많이 모아 <명화로 보는 단테의 신곡>을 만들어냈다.

<명화로 보는 단테의 신곡>도 시중에 나온 많은 <신곡>처럼 운문이 아니라 산문 형식으로 편역을 했다. 따라서 편역자의 글쓰기 능력이 독서에 상당히 중요한데 편역자 이선종 선생은 단테의 <신곡>을 편하게 즐기면서 읽을 수 있게 잘  써 주셨다. 아마도 <명화를 보는 단테의 신곡>은 계속해서 책상과 가까운 곳에 두고 심심할 때마다 꺼내 펼쳐 읽고 보고 할 것 같다. 물론 저녁에는 못 볼 것 같다. 능력 있는 많은 화가들 때문에 펼쳐볼 때마다 무섭고 섬뜩한 장면이 여럿 있으니까.

<신곡>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나는 지옥이나 천국보다는 연옥이 좋다. 연옥은 사실 어째서 선한 사람들이 기독교인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는가 라는 의문을 풀어주고 나름 사회 정의를 실현하려고 12세기에 창조한 개념이라고 한다. 가톨릭은 그 개념을 받아들여 13세기에 널리 유통시켰으나, 사실 14세기에 단테가 <신곡>을 쓰지 않았다면 그대로 사장되었을 수도 있는 개념. 아직 개신교에서는 받아들이지 않은 개념이다. 하지만 나는 선한 자들이라면 종교에 상관없이 받아들이겠다는 관용이 나타나 있는 연옥이라는 개념이, 결국 인간의 발전을 인정하고 있는 연옥이라는 개념이 좋다. 어두운 길과 밝은 길이 아니라 점점 더 밝아지고 있는 길이 좋다고 해야 하나.


소설을 소설로만 보면 좋겠지만, <명화로 보는 단테의 신곡>을 읽는 내내 죽은 자들을 위해 기도를 해야 할까, 운문으로도 읽어봐야 할까, 이탈리아어를 배울 수 있다면 좋겠다 같은 생각을 했다.

그림이 있어 지루하지 않고 오랫동안 글과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책, <명화로 보는 ~> 시리즈를 쭉 구입해야 할까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