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진가
모데라타 폰테 지음, 양은미 옮김 / 문학세계사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성의 진가>를 읽으면서 내내 읊은 건 ‘모데라타 폰테’라는 저자의 이름이었다. 저자 소개를 보면 <플로리도로>라는 로맨스를 쓴 시인이라는데 나는 모르는 책이고, 본명이 모데스타 포조라는데 역시나 모르는 사람이다. 하지만 이제는 알게 된 사람이 되고 싶어 계속해서 읊어봤다. 모데라타 폰테, 모데라타 폰테.


여류 작가들은 저작을 한 두 편 남기고 아이를 낳다가 죽는 경우가 왜 그렇게 많은지. 모데라타 폰테도 역시 딸에게 생명을 주고 자신은 하데스 강을 건넜다. 한 명의 작가로 온전히 살아갈 수 있는 남자들과 달리 여자 작가는 작가의 인생은 부수적이고 그보다는 엄마로 아내로 더 많은 시간을 살아야 한다.


모데라타 폰테가 좀 더 창작에만 시간을 쏟을 수 있었다면 좀 더 많은 작품을 남길 수도 있었을 텐데, 많이 아쉽다. 그 많은 생각을 머릿속에 넣어둔 옛 여인들이 출산이라는 난관을 이기지 못하고 사그라져야했다는 것도. 하지만 이런 이야기는 부수적인 문제. 나는 <여성의 진가>를 읽는 동안 내용이 집중하고 싶었다. 500년 전에 살았던 여인들은 어떤 고민을 하면서 어떤 삶을 살았는지 알고 싶어서.


당연히 오래 전 이야기를 읽을 때는 오래 전 그 사람들이 처했던 상황과 사회적 배경을 충분히 고민해야 한다. 당연히 16세기 베네치아라는 시대적 한계를 품고 있는 여인들 입에서 나오는 과학은 거의 대부분 틀렸다(더구나 그 과학 분야도 점성술이니 현대 지식에 비추어 보지 않더라도 그 당시 아주 똑똑한 여인이 알고 있던 과학 지식의 한계가 그 정도였구나 라는 사실이 충분히 실망스러운 동시에 사실 귀엽기도 하다).


하지만 여자들이 남자와 동등해질 수 있는 방법이 그 시대의 지식을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한다는 인식에는 동의한다. 자기 처지를 제대로 인지하고 남녀의 지위 차이를 분명히 깨닫고 있었던 여인들이 500년 전에도 있었는데 지금도 비슷한 고민을 해야 한다는 데는 조금쯤은 쓸쓸하기도 하다. 지금도 상당히 들어맞을 남자를 향한 성토들은 충분히 공감한다.


하지만 아무리 깨어 있는 여성이라고 해도 한 시대에 갇힌 여자로서 모데라타 폰테는 결국 아내로서 여자로서 책을 마무리할 수밖에 없었던 것 같다. 마지막 두 페이지의 그 실망스러운 결론이라니. 그 쓸쓸한 체념이라니. 하지만 꼭 알아두고 싶은 여인을 만났다는 데 만족하고 싶은 독서이다. 부랴부랴 읽고 우리 딸아이에게도 읽어보라고 했다. 물론 전혀 새롭지 않은 이야기일 테지만,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일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