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집 짓다 시리즈 3
신현수 지음, 노준구 그림, 김태훈 감수 / 상상의집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을 보는 눈을 넓히고 생각을 새롭게 짓는

짓다 시리즈 (옷 / 맛 / 집)


 

상상의집 짓다 시리즈는

재료를 들여 옷, 밥, 집 따위를 만드는 것을 공통적으로 '짓다'라고 표현하는데,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닿아있으며 사회적.문화적. 역사적 면에서도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는 의식주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이 전하는 이야기를 통해 세상을 보는 눈을 넓히고 생각을 새롭게 지어 보자는 의미로

옷, 맛, 집 우리가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의식주를 주제로 각각의 주제에 대한 개념과 의미를 알아볼수 있는 책이랍니다.

 

 

 

 

 

 


[이런저런 집]른 '집'이라는 큰 주제를 통해 세계 여러나라의 집들에 대해 알아보고,

집들이 주는 의미와 개념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집에 대해 배울수 있는 도서랍니다.

 

 

 

생존을 위한 집 / 자연환경에 맞춘 집 / 신분의 상징 화려한 집 / 아픈 역사를 담은 집 / 따로 또 함께 사는 집 / 높이 더 높이, 하늘 향해 솟은 집 /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집 등 7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답니다.


각각의 주제속에는 세계 여러나라의 다양한 집의 형태와 의미를 알아볼 수 있는데요,

집에대한 궁금한 것이많은 요즘, 딱 지금부터 초등학교때까지 쭈~욱볼 수 있을거 같아요.

 

상상의집 도서는 읽을 때마다 참~ 흥미로워요.


우리가 알고있는 이야기를 새롭게 각색해서 내용에 대해 단순히 설명해 주는 것이 아닌

아이와 함께 이야기 하듯 전개되는 스토리로 아이가 이야기 속에서 함께 여행하는 듯하니 집중과 몰입이 더 잘되는 거 같아요.


이런저런 집에서는 크리스마스의 역작 '나 홀로 집'이네요!! ㅎㅎㅎ


집에 홀로 남게 된 캐빈이 산타할아버지를 도우며 다양한 집에 대해 알아볼거랍니다.

굴뚝을 탈 수 있을거라 신이난 캐빈에게 산타할아버지는 열쇠로 문을 열고 들어간대요~ ㅎㅎ

 


첫번째 열쇠

생존을 위한 집

 

 

인류가 처음 생기고 사람이 살아가면서 가장 중요한것이 옷, 음식과 더불어 잠을자고 휴식을 취하고 가족과 함께지내는

보금자리, 즉 집인데요.

선사시대에는 집을 지을 기술이 없었고, 먹이를 따라 이동하며 지냈기 때문에 집이라고 부를 만한 공간이 없이

동굴에서 지냈다고 해요.

 

그 외에도 나뭇가지를 얼기설기 역어 만든 '움막' 들고 다닐 수 있는 '게르' 가 있으며,

인류가 정착생활을 하기 시작하면서 '움집'을 지어 생활했답니다.


지금도 서울 암사동에 가면 선사주거지인 움집에 대한 유적을 볼 수 있지요.


 

두 번째 열쇠

자연환경이 맞춘 집


 

가장 추운 곳. 북극지방의 이글루를 시작으로 아프리카 마사이족의 쇠똥집,

베트남, 태국, 미얀마 등 열대 지역의 수상가옥, 그리고 우리나라의 한옥까지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답니다.

  

 

특히, 관광지로도 너무나 유명하고 아름다운 곳, 저도 꼭 한번은 가보고 싶은 곳이기도 한

그리스의 산토리니섬의 파란지붕의 하얀집에 대한 사연은 아름다움 만큼이나 놀라운 집인데요,


화산섬인 산토리니섬 사람들은 물이 부족해서 빗물을 받아 사용하는데

집의 옥상과 벽에 하얀 석회를 칠해 놓아 빗물이 벽을 타고 내리면서 자연스럽게 빗물에 섞인 먼지와 세균을 걸러주어 저장된 물을 사용한다고 해요.

 

 

 

세 번째 열쇠

신분의 상징, 화려한 집


 

 

고대 로마제국 귀족의 호화스러운 도무스, 조선의 99칸 기와집,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전 등

이름만 대면 알수있는 화려한 집들의 건축비화에 대해 알 수 있답니다.

네 번째 열쇠

아픈 역사를 담은 집


 

 

 

 

 

스페인 군대의 핍박을 피하기 위해 호수위에 갈대로 만든섬에서 지내기 시작한 우르르족,

로마 제국의 위협으로 부터 몸을 피한 터키 기독교인의 거주지  카파토키아의 바위산과 데린쿠유 마을의 지하도시 등은

지금도 놀라운 집들이랍니다.

 

 

이탈리아 알베로벨로의 원뿔모양의 하얀집 '트롤로'

조선의 문화주택도 역사적인 아픔을 품은 집으로 집을 통해 시대적 배경 등 역사를 함께

배울수 있어 의미가 있어요.

 

다섯 번쨰 열쇠

따로 또 함께 사는 집에서는

지금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활하고 집이라 여기는 공동주택의 형태가 로마 제국의 '인슐라'로 시작되었다니 놀랍네요!!!

중국의 공동주택 '투러우'와 산업혁명으로 노동자들의 주거환경이 안좋아진 영국에서 노동자를 위한 공동주택 '로우 하우스'는

프랑스에서 조금 더 발전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아파트의 형태로 발전했다고 하니,

주거공간의 역사도 결국은 세계사와 연결되어진거네요!!!


여섯 번째 열쇠

높이 더 높이, 하늘 향해 솟은 집


 

하늘을 향한 인간의 욕망이 드러나는 '바벨탑'은 구약성서에도 나오는 유명한 이야기죠!!


 

'누가 누가 빌딩을 더 높게 짓나?'

세계의 마천루 경쟁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는데요,

지금은 무너져버린 미국의 세계무역센터, 두바이의 부르즈 할리파, 서울의 롯데월드타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층건물들에 대해 알 수 있답니다.

일곱 번째 열쇠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집

 

 

요즘은 집들도 스마트해지고 더욱 환경을 생각하며 집을 짓고 있다는 것을 주변을 보면서 느낄 수 있답니다.


태양으로 에너지를 만들어 쓰는 오스트리아의 '솔라 시티'는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 주거공간인데요,

이처럼 태양열과 지역, 조력에너지와 바이오에너지등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를 사용하는 집들을 설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도 노원에 '에너지 제로 주택(이지 하우스)'가 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점차 1인가구와 미니멀 라이프를 지향하는 사람들이 늘어가면서

집은 더 작게, 초소형 주택이 늘어나고있다니 집도 시대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거 같아요.

 

 

 

'집'이라는 의문으로 시작해 세계 각국의 다양한 집 형태와 집에 얽인 문화적 시대적 배경 등

집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환경에 따라 바뀌는 집, 화려한 집, 역사속의 집, 그밖의 많은 집들을 살펴보면서 산타할아버지와 함께 했던 캐빈은

집과 가족에 대한 소중함을 알게 되었는데요,

Alfie도 함께 여행하면서 다양한 집 안에는 언제가 가족이 있고,

가족화 함께 할수있는 지금 우리집이 너무 좋다네요~ ^^


 

 

다소 어려울 수도 있는 내용이지만,

울 Alfie도 신기한 듯, 재미있게 보면서 가족의 소중함과  앞으로 자기가 살고싶은 집을 생각해 보기도 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