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사생활 2 : 정서.인성편 아이의 사생활 시리즈 1
EBS 아이의 사생활 제작팀 지음 / 지식채널 / 201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을 키우면서 한번도 제대로 된 육아서를 들여다본적이 없다.

그저 아이 먹이고 입히는것에 바빠서 제대로된 가정교육은 해본적이 없는데 그래도 그나마 종종 도움을 받았던것은 EBS에서 나오는 육아관련 프로그램이였다. 아이의사생활 역시 그때 열심히 봤던 방송으로 아이의 성장과정과 여러가지 실험을 헀던 프로그램으로 기억되는데 그것이 책으로 나왔다는 말에 언제 꼭 한번 읽어봐야지 했었는데 미루다 미루다 이번에 좋은 기회를 만나 이번에 제대로 읽어보게되었다.

아이의 사생활 2권에서는 정서.인성편이다. 아이를 키우면서 한번쯤 고민해봤을 부분이다.

아이가 밥을 잘먹는지 공부를 잘하는지 키가큰지 안큰지 그런건 사실 아이가 어느정도 자라다보면 그리 별로 중요한 고민이 아니라는 걸 알게된다. 물론 신경은 쓰이겠지만 그건 어느정도 노력할만한 길이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이가 자꾸 거짓말을 한다거나 친구들 사이에서 어울리지 못하고 방황, 혹은 반항할때 부모는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할지, 내가 잘못가르친건 아닌지 자책하게된다. 그래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부모가 잘 교육해서 바뀔수 있기에 바른 교육법을 배워보고 싶었다.

책은 크게 part1에서 도덕성에 관한 내용을 part2에서는 자아존중감에 대해 이야기 한다.

세세하게 들어가 읽어보면 솔직히 그것이 바른 교육이라고 생각해보진 않았지만 우리가 옳다고 생각하고 가르친것들이 모두 그곳에 있었다.

하지만 내가 무심코 뱉은 말에 아이의 도덕성을 망치는 예가 그대로 들어가 있어서 읽는내내 내 교육에 대해 자신감이 떨어지기도 한것은 사실인데 예를들어 아이가 백점을 맞아왔는데 알고보니 한문제는 몰라 선생님 몰래 책을 들쳐보고 답을 하나 맞췄다고 고백해왔을때 나같아도 다음부터 그러지마라. 하고 넘어갔었을것이다.

헌데 그런 부모의 행동 역시 아이에게는 한순간의 부정행위는 사라지고 백점이라는 보상만 남은 꼴이 되어버리니 결코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 한다. 

불의를 보고 살짝 눈감아도 좋다고 말한다던지 아이에게는 늘 무단횡단을 하지말라고 강조하면서 나는 아이앞에서 슬쩍 행한적이 있다던지.. 알게 모르게 아이앞에서 깍아먹은 나의 도덕성은 어떻게 해야할지 민망해졌다.

제대로 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도덕성은 사회성과 절대 분리될 수 없다. 내 아이를 어떤 환경에도 잘 적응하며 원만하게 어울리는 사회성 뛰어난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우선 도덕성을 키워주자. 도덕성 없이는 사회성도 없다.

책을 읽으면서 내가 아이를 위한다고 행동했던 것들도 사실은 아이의 자율성을 파괴하고 너무 안전한 길로만 인도하고 있던것은 아닌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러면서 창의적이고 다양성을 요구하는건 또 뭔지..

아이 스스로 행동해보고 실수한다면 그것을 또 딛고 일어날수 있도록 지켜봐 주는것이 부모의 역활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다.

아이를 잘 키운다는 것이 아이가 해야할 일과 배워야할 것을 정해주는것이 아니라 너무 잘못된 길로 가는것만 막아서며 묵묵히 지원해주는 것이 최선이라는걸 다시 한번 알게된 계기로 좋은 시간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