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버터
유즈키 아사코 지음, 권남희 옮김 / 이봄 / 2021년 8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문학동네북클럽에서 가제본
서평단 모집을 통해 먼저 읽게 된 소설.
몇
년 전 일본을 들끓게 했던 꽃뱀 연쇄살인 사건을 모티브로 탄생한 소설의 제목이 “버터”라는 것이 흥미로웠다.
소설
전편에 주인공들 못지않게 많은 비중으로 등장하는 음식들의 묘사가 실감나서, 작가를 살펴봤더니, 몇 년 전, 드라마 “런치의
앗코짱” (소설 원제, 나는 매일 직장 상사의 도시락을 싼다)의 원작자였다. “내가 먹은 음식이 나를 만든다”고 말했던가. 드라마에서 음식은 단지 한 끼 때우는 것이 아니라, 바쁜 일상에서 소중한 나 자신을 위한 자양분이며 보상이다.
이 소설 속에는 버터와 버터가 들어간 다양한 음식이 등장한다. 소설을 읽는 동안 그 맛과 향을 상상하면 농밀함에 머리가 어지러워질 지경이다. 이 소설에서도 역시 음식은 단지 “먹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음식은 욕망의 표현 또는 유혹과 자기애의 도구이며, 위로이고, 인간관계의 윤활유이다.
음식뿐 아니라, 이 소설은 사회에 만연한 여성에 대한
이미지와 편견을 다룬다.
감옥에 있는 가지이는 자신의 죄 자체보다도, 그녀의 평범한
외모와 뚱뚱한 몸이 더욱 회자된다. 아름다운
여성의 전형에서 벗어난 그녀는, 처음에는 스스로의 몸에 당당하고 외모나 능력에 상관없이 “남자를 용서하고, 감싸고, 긍정하고, 안심시키고, 절대 능가하지 않는” 여자다운 여성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결국 그녀 자신이 누구보다도 쇼와 시대로 표현되는 보수적인 남성들이
원하는 여성상에 갇혀 있음이 드러난다.
주인공 리카는 여성 언론인으로, 바쁜 생활을 하고 있다는
이유뿐 아니라 늘씬한 체형을 유지하기 위해 먹는 일에는 크게 관심이 없다. 종종 업계의 다른 여성들이 그렇듯 남성들과 사적 관계를 통해 일을 따내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여성성을 적당히 이용하는 것을 완전히 거부하지도 못하는 현실에서 늘씬한 몸매는 그녀가 타협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다.
“노력, 노력, 노력..... 마치 저주처럼 24시간 리카를 따라다니는 이 말. 그러나 무엇을 더 어떻게 노력하면 되는 걸까.”
일하는
여성이라면 누구나 공감하듯, 그녀 역시 매일을 분투하며 일과 개인적,
사회적 관계 모두에 대해, 조금만 더 노력하면 좋아질 것이라 스스로에게 다짐한다. 그러나 삶은 무겁다.
취재를 위해 가지이 마나코를 접견하게 되면서, 리카는
“미식”에 눈을 뜬다. 가지이가 요구하는 음식을 대리 시식하고 나아가 직접 요리하게 되면서, 그녀를 이해하게 되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된다. 이제 리카는 타인의 잣대보다는 스스로를 긍정하는 방향으로 한 걸음 나아가려 한다.
“온종일 당신이나 세상을 기쁘게 할 만한 노력을
할 자신은 없어. 난 이제 젊지도
않고, 더는 타인에게 소비되고 싶지 않아. 일하는 법이나 사람 사귀는 법을 내 중심에 놓고 생각하고 싶어”
소설은
리카의 절친 레이코를 통해, “뭐든 다 자기 힘으로 극복해야 하는 건 아닐지도 몰라. 계속
성장해야만 하는 것도 아니고. 그런 것보다 오늘 하루를 무사히 마치는 게 훨씬 더 중요해.” 라며, 잠깐
숨을 고르고 자신이 이룬 소소한 성과를 소중히 하라 조언한다.
************************************************************
처음
책을 받아 들고 묵직함에 조금 놀라긴 했지만, 문장은 유려하다. 음식, 범죄, 페미니즘, 결혼, 가족, 우정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면서도, 복잡하지 않고, 제목처럼 농도 짙은 그러나 잘 읽히는 소설이다.
#문학동네#이봄#버터#일본소설#음식#페미니즘#소설_버터#유즈키아사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