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그런 게 아니에요 - ADHD와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아이의 성장 이야기
호리우치 타쿠토.호리우치 유코 지음, 송후림 옮김 / 북앤에듀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형제중 두형제가 진단장애를 갖고 있는 어머니,

타쿠토는 그 형제중 둘째 인데, 책 대목에서

첫째는 본인이 자각하고 있는 진단장애의 행동이 있어서, 아들에게

진단장애라고 말을 해주고, 타쿠토는 중학교가 되어서 자폐관련

책을 읽고 엄마에게 물었을때 엄마가 그때 이야기해주었다고 한다.

처음부터 아이에게 그런 말을 해줬더라면, 아이는 지금처럼

성장할수 있었을까?

엄마의 역할도 중요하고, 함께 해준 선생님이 있었기에, 타쿠토가

사회에서 도태되지 않고 성장할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중학교때 타쿠토의 담임은 특수학교에서 재직했던 선생님이

일반학교로 와서 타쿠토를 접하게 되었고, 부모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타쿠토가 학교 생활을 적응할수 있도록 도와주셨어요.

이런 긍정적인 선생님이 있었기에 타쿠토의 중학교 생활이 나름

즐거운 생활이 아니었나 싶어요.

선생님의 시선이 고왔기 때문에, 같은 반 아이들도 타쿠토를 왕따시키지 않고,

즐겁고 유쾌한 아이로 기억되게 되었을 거에요.

일본에 여름 풍습중하나가 있는데, 그것은 눈을 가리고, 안내하면서 수박깨기를

하는 것입니다. 이 수박깨기에서는 부정의 말은 나오지 않아도, 어떻게든 긍정적으로

수박이 있는곳까지 가서 수박을 깰수 있게 도와주는것이죠.

이책의 이치도 그렇습니다. 타쿠토가 이 세상에서 온전히 살수 있었던건, 이런 긍정의

힘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것 이었습니다.

모든일에는 때가 있기마련입니다. 그렇지만, 발달장애의 경우에는 그때가 남들보다는

약간 느린것 뿐이랍니다.

처음에 타쿠토는 침묵으로 일관했고, 다른사람과 눈 마주치고 이야기 하지도 못했어요.

그러나 차츰차츰 연습을 통해서, 침묵속에서 벗어나 이야기를 할수 있게 되었고,

다른사람과 눈도 마주치면서 이야기 나눌수 있게 되었어요.

대부분의 육아서에 있던 중요한 단서도 이책에 들어있었습니다.

힘들 일이 생기면, 그것은 아이가 부모의 그릇을 넓혀주려고 이것저것 하고 있는거구나 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시행착오를 겪어 가면 됩니다. 성장시켜 주고있어 고맙다고....

엄마가 즐거워하는 모습을 본 아이들은 안심하고 행복한 어른이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