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아, 넌 할 수 있어!
클레르 프리드먼 지음, 양은진 옮김, 가비 한센 그림 / 세상모든책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처음 두발 자전거를 배우겠다며 엄마의 높은 자전거를 끌고 마당으로 나갔을때 엄마는 걱정을 한가득 하시며 넘어질라..다칠라.. 내가 잡아주마 하셨다. 난 내가 할수 있다고 자신하면서도 한편으론 처음 타보는 낯선 자전거가 두렵기도했다.

그런 내 마음을 눈치챈듯..엄마는 내 뒤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잡아주고 끌어주며 할수 있다고 격려해 주셨다. 그리고 넘어지는건 당연한 거라고 말씀하셨다.

난 몇번의 넘어짐과 비틀거림 끝에 스스로 균형을 잡으며 앞으로 쭉 나갈수 있게 되었는데, 그렇게 될수 있었던 것은 혹시나 내가 실수로 넘어질듯 위태위태 하더라도, 엄마가  뒤에서 꼭 잡아주고 있을 거라는 믿음과 넘어지는 것이 창피한 것이 아닌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했던 무모함(?) 때문이었던 것 같다.

 

깡총 뛰고 싶어하는 아기토끼 데이지는 아직 모든게 미숙하다.

멋지게 혼자힘으로 뛰어보고 싶지만 자꾸 곤두박질이다.

그런 데이지에게 엄마는 말한다. " 한번에 되는게 어디있니?" 라고...

그렇다...세상의 모든 일들은 한번에 되는 일이 없다. 더구나 아직 모든 것이 낯설고 경험이 없는 아이의 경우라면 더더욱 그러하다. 하지만 어른들은 아이의 시행착오를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한번에 되는 것이 없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실수에 실수를 거듭해야만 진정한 내 것이 될수 있고 그래야 더더욱 가치있다는 것을 엄마토끼는 잘 알고 있는 것 같다.

세상으로 한발짝 더 나아가기 위해서 아기토끼는 꼭 뛸수 있어야만 하지만.. 엄마토끼는 다그치거나 조급해하지 않는다.

오히려 " 걱정마.데이지.너도 잘 뛰게 될 거야" 하며 꼭 안아준다..

" 기운 내.데이지. 엄마랑 같이 해 보자" 하며 발을 맞춰 같이 뛰어다닌다.

" 해야해 !" "해야된다!" 가 아닌 "할수있어" 라는 엄마토끼의 말엔 아이를 백프로 믿고 신뢰하는 긍정적인 메세지가 뿜어져 나온다. 

결국엔 혼자 힘으로 껑충 뛸수 있게 된 데이지...

 엄마토끼의 믿음과 기다림은 아이가 스스로 해내었다는 성취감과 동시에 앞으로 모든일도 다 해낼수 있다는 자신감까지 느끼게 만든 것이다

이 책을 읽고나니... 왠지 한편의 육아서를 읽은 듯한 기분이 드는 것은 왜일까?

기다려 주는 것.. 그리고 절대적으로 믿어준다는 것... 참으로 어려운 일이지만.. 이 두가지만 확실하게 실천할수 있어도 내 아이가 행복한 인생을 살게되지 않을까 하는 확신이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