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드 feed
M. T. 앤더슨 지음, 조현업 옮김 / 지양어린이 / 2009년 5월
평점 :
내가 만약,
피드의 세계속에 살고있다면,
피드를 읽는내내 머릿속을 떠나지 않던 물음.
피드의 세계속에 살고 있는 나.
피드는, 미래 - 어쩌면 영화속에서 가상으로 만들어보는 홀로그램속 세상, 그래 생각만해도 눈이 휘둥그래지는 그런 막연한 미래의 모습일지도 모르지만, 직립보행을 할 수 있게 되면서부터 끊임없이 [편의]를 위해 [부]위해 우리의 삶의 모습을 바꾸며 살아온 현 인류에게 곧 닥쳐올 미래일지도 모르겠다.
공상과학 만화나 S/F영화속에서나 등장할법한, 이 아니라 어느새 우리 속에 스며들어있는 그런 미래. 각자 뇌에 피드를 장착하고, 내가 사고하는 즉시 피드넷을 통해 제공되는 수많은 정보의 홍수속에서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살고있는 우리들. 얼마나 편리한가.
난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에네미 앳더 게이트와 제 5원소가 오버랩되었다. 불과 몇 년전에 영화속에서 등장했던 장면들이 현실이 되어있는 피드의 세상.
더이상, 컴퓨터가 부속품 아니 필수품도 아니고 몸의 일부가 되어버린 세상.
내 뇌속에 컴퓨터를 집어넣는다?
지루한 일상에서 벗어나고자 친구들과 함께 달나라로 여행을 떠난 타이터스는, 우연히 바이올렛이란 소녀를 알게된다. 그리고 운명처럼 이 두사람은 해커에 의해 피드를 손상당하게 된다.
피드의 회복. 피드 기술자의 치료.
몸이 아픈데, 컴퓨터프로그래머가 치료를 해 준다는 것, 얼마나 우스운일인가. 그러나 다시 생각해보면 얼마나 무서운 일인가.
기술이 생명존재에 관여한다는 일은, 어쩌면 가장 현실적인 문제인지도 모르겠다.
피드세대로, 어렸을때부터 피드에 익숙해진 타이터스에게 피드의 부재는 어쩌면 생명의 부재와도 같은 것이었을지 모른다. 반면, 성숙하고나서야 피드를 장착하게된 바이올렛에게 피드가 있는 삶은 어떤의미였을지.
함께있어도, 각자에게 채팅을걸고. 마약을 먹는대신 사이트에 접속해서 멜이란 상태를 즐기고, 어디를가든 무언가를 생각하든 그 즉시 상품의 정보가 내 눈앞에 나타나는 세상.
대화의 부재, 문자의 부재. 사고의부재.
피드를 읽으면서, [부재]가 갖는 여러가지 의미를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챕터.
바이올렛의 상태를 퍼센트로 나누어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약간 슬프기도.
89.1%--------- 50%---------
피드의 활성화율.
그리고 그녀의 생명이 남아있는 시간.
우리는 대체 어떤 미래를 준비하고 있는 것일까.
미래의 에필로그. 그 끝을 이렇게 비관적으로만 생각해도 되는 것일까.
내가 지금.
피드의 세계에 살고있지 않음에 감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