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빨강 1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아모스 오즈의 소설을 읽다가, 아모스 오즈와 함께 거론되는 터키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오르한 파묵을 알게 되었다. 아모스 오즈의 소설은 너무 낯설었지만, 초강력 빨대로 사람의 영혼을 쑥 빨아들여서 물컹물컹 목구멍으로  넘기듯 - 그렇게 시원하지만 조금 쓰라린 ,목구멍의 기침같은 느낌이었다. 그렇게 어렵지만 너무나 매력적인 작가 아모스 오즈의 소설을 더 많이 읽고싶어서 이것저것 뒤적이다가 알게된 오르한 파묵.

 

어떤 책을 먼저 읽을 까, 를 고민하다가 가장 임펙트가 강한 [내이름은 빨강]을 선택하게 되었다.

 

처음부터, 누군가가 살해되고, 그의 살이 찢겨지고 고통으로 신음하는 한 남자가 화자가 되어 자신의 원통함을 호소한다.

그를 죽인 범인은 누구인가.

난, 알수없는 어떤 불가항력적인 마수에 걸려서 A를 범인으로 지적해버렸다. 왜인지는 정말 모르겠다. 그래서인지. 나를 살인자라고 부른다,고 말하고 있는 C를 끝까지 범인이 아니지 않을까라고 생각하며 읽었기 때문에, 나에게 범인은 큰 반전이었다.

 

 

어떤 하나의 생각이 머릿속을 지배하는 순간, 이미 거기에서 벗어날 수 없는 노예가 되어버리는 우리 인간, 그 중에서도 가장 편협한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나 같은 인간에게

이런 [단정]이 처음부터 끝까지 날 옭아맸지만, 터키 이스탄불의 오스만제국시절 세밀화가들과 그들주변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유럽문화와의 충돌을 여러화자의 입을 통해서 아주 자연스럽게 때론 지루하리만큼 이론적으로 혹은 너무나 감상적인 누군가의 눈을통해 이야기하고 있는 내이름은 빨강.

 

각 화자의 이야기가 너무나 매력적이지만, 나는 세큐레가 가장 좋다.

그녀는 이기적이고 감상적이고 충동적이지만, 미워할 수 없는 매력을 내뿜으며, 진절머리가 날만큼 냉철하고 이성적인 판단으로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그래서 마지막 화자가 세큐레여서, 그런 완벽한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어서 이 작품은 나의 베스트오브베스트가 될 것 같다.

 

 

더 할 이야기가 너무 많지만, 나중에 다시 읽어보고 해야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