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일어서는 용기 - 거침없이 살기 위한 아들러의 인생수업
알프레드 아들러 지음, 유진상 옮김 / 스타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이해는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개인 심리학은 배우고 실천하기가 가장 어려운 학문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언제나 전체를 향해 귀를 기울여야만 하고, 저마다의 사소하고 다양한  관찰해야 한다.

우리가 타인을 이해했다고 느낀다 해도 히해하지 않은 것이라면 우리가 옳다고  보증할 수 앖디. 

함게 통하지 않는 진리는 결코 전체적인 진리가 될 수 없다. 

사람들은 오해를 오해각 낳는 실수를 범한다. 그래서 개인의 심리는 매우 어려울지도 모른다.

이러한 실수를 범하지 않기 위해선 서로 협력을 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또하나 흥미로웠던 점은 이 책에서 아들러는 범죄자들도 그들 스스로가 되고 싶었던 것이 아닌

사회가  만든 환경이 잘못된것이라고 지적한다. 범죄자들도 우리와 같은 사회 구성원으로 함께 이해하고

협력해야 한다고 감씨주고 있다. 막연하게 생각하면 이해하기 참  어려운데 말이다.



같은 환경이라 해도 강제적인 것은 없다. 같은 가정과 같은 환경 안에 있는 아이들도 각기 다른 식으로 성장한다.

때로는 흠잡을 데 없는 가정에서 갑자기 범죄자가 튀어나오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형무소나 감화원에

갔다 온 경험이 있어야 정상일 듯한 환경의 가정에서 성격이나 행동이 올바른 아이가 나오기도 한다. 

또 범죄자가 나중에 죄를 뉘우치고 새사람이 되어 잘 사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범죄자들에게도 협동에 대한 이해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알려주는 듯 하다.

그 안에서 최초의 기억 또한 중요시 하고 있다.

그래서 어렸을때의 기억이 최초의 기억으로 남고 그 기억에 올바른 가치관과 협동이라는 밑거름이 내재되어 

있어야 한다.

아들러는 모든 사람들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면서 용기을 주고 있다.



나라는 개인적인 사고에 머무르지 않고 나를 포함한 이웃에 대한 관심을 잊지 않아야 한다는 점은 

아들러를 통해 배울 필요가 있다. 특히 소외되었다고 느끼는 환자들은 전 인류에 대한 증오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아들러의 이야기는 양극화의 극단을 향하가는 우리에게 무서운 경고를 주고 있는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지원받아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