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르칠 수 있는 용기 - 출간 10주년 증보판
파커 J. 파머 지음, 이종인.이은정 옮김 / 한문화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삶에서 겪게 되는 고통의 시간 한 가운데를 살았던 2000년 즈음.

그때 근무했던 학교도 그 지역에서는 가장 힘들다고 (실업고인 농림고를 제치고)손꼽혔던​ J고등학교 2학년 담임을

용쓰며 악쓰며 마무리 짓던 종업식 날(로 기억됨).

수도권에서 중간에 전학 와 우리반이 되어 인연 맺은 은철, 순하고 조용했던 ​은철이가 수줍은 미소 지으며 건네준 책.

[가르칠 수 있는 용기]와의 인연은 그렇게 맺어졌다.

(하늘이 또 다른 하늘에게....힘내세요 처리...란 글과 함께)​

하루가 멀다하고 사고를 치는 드센 녀석들과는 달리 담임​을 조용히 격려해주었던 은철이의 마음을 그렇게 받고도 쉽게 그 책을 보지 못했다. 취미가 독서이고 특기가 독서라고 할 정도로 책을 좋아했지만 왜 그랬는지 이 책은 쉽게 읽혀지지가 않았다.

중대한 삶의 기로에 선 상황이었기 때문에 가르친다는 것에 대한 고민은 그다지 내 마음을 건드리지 못했던 것 같았다. 책장 한 부분을 차지하고 꽂혀 있는 책을 볼 때마다 순했던 은철이의 눈빛이 생각났고 마음 한 켠에선 자꾸만 미안한 마음이 쌓였지만...쉽게 이 책을 펼칠 수가 없었다.

그 이듬해 고향과 다름없는 작은 소도시를 떠나 낯선 곳에서 두려움 속에서 힘들게 적응하며 낑낑대며 ​살다가 내 힘으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막다른 골목에 이르렀다고 느꼈을 때....

그제서야 용쓰고 악썼던 나를 던졌다.

- 당신께서 해주십시요, 저는 이제 못하겠습니다...

그리고 봤다.

사방이 닫혀졌다고, 출구라고는 작은 창 하나 없는 꽉 막힌 감옥이라 생각했던 곳에 열린 문이 보였고, 거기서 빛이 보였다. 그동안 닫힌(막힌) 문만 줄기차게 바라보느라 열린 문을 보지 못했던 거였다. ​

그 빛의 한 자락으로 만난 게 바로 [가르칠 수 있는 용기]였다.

6~7년 ​만에 은철이의 마음을 펼쳤다. 이 책 표지(초판)가 희한하게도 어둠 속에 조금 열린 문, 문 틈으로 들어오는 환한 빛 사진인데, 이 책을 보고(표지) 이 느낌이 들었는지 이런 느낌을 가졌을 때 이 책을 보았는지는 분명치 않지만, 처음 이 책을 읽었을 때 받았던 충격은 엄청났다.

환희랄까? 기쁨, 전율로 가슴 뛰는 무한한 에너지가 내 안에 가득찬 느낌을 받았었다.

그 때부터 파커 J​. 파머 선생님을 검색해서 그 분과 관련된 책들을 읽기 시작했고 그후 '가르칠 수 있는 용기' retreat이 우리 나라에서도 진행되고 있음을(<마음비추기 피정>의 이름으로) 알게 되었다.

그 후로도 힘들 때마다 이 책을 한번씩 펼쳤다.

그때마다....온전한 ​나를 만나며 통합된 삶을 살 수 있는 힘을 얻었다.

1년에 걸쳐 진행되는 피정에 참가하고 싶었으면서도 자꾸만 참가를 망설이게 하는 이유들을  내가 대며 피정 참가를 미루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몇 년을 ​계속 피정 소식만 보면서 기.다.렸.다.

그 기다림의 시간은 내 안에 있는 두려움이 ​모양과 색깔을 바꾸어 나를 어지럽히고 있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이젠 어느 정도 털어내어서 두려움 쯤이야...괜찮다고 생각했었는데....자만이었구나....

산티아고 길을 짧게 걸으며 온전히 나에게만 집중하고 침묵하며 만난 나와의 시간이 헛되지 않았다.

내 안의 두려움을 다시 직면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더 이상 두려움에 휘둘리지 않으리라, 머리로 따지는 삶은 살지 않으리라 선언하고 도움 청하며(신께) 가장 먼저 가슴이 원하는 것을 했다.  ​

'​마음 비추기 피정' 신청서 작성.

고요히 나에게 침잠하여 가진 은혜로운 시간​에 대한 감사를 어찌 말로 표현할 수 있을까?

함께한 분들의 삶의 한 자락을 공유할 수 있었던 선물을 어찌 표현할 수 있을까?

피정에 참석하는 동안, 피정 참석 이전부터 떠올랐던 생각 - 중단된 책 읽기 영성모임을 다시 시작할 때가 아닌가? -에 대한 답을 얻었고 그 시작의 서막을 [가르칠 수 있는 용기]로 열게 되었다.

독서모임을 하면서 다시 또 읽게 된 책 [가르칠 수 있는 용기]는 15년 전에 나왔던 책이라고는 할 수 없을 정도로 내용적인 면에서 오늘날의 교육현실에 적용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통찰력이 뛰어나다.

교육 부분 뿐만이 아니라 사회현실을 개혁하고자(파머 선생님은 개혁이라는 단어를 쓰시지는 않았지만. 바꾼다는 말이 좀 더 가깝다)​ 하는 이들에게도 그 지침과 방향을 조용히 안내해준다.

또한 단순히 학교현장에만 적용하는 교사를 위한 책만이 아니다.(책 제목에서 느껴지는 제한)

분열성을 너머 온전​한 삶, 영혼과 교감하는 삶을 원하는 이들을 위한 글이다.

세월이 아무리 흘러도 이 책에 담긴 정수는 퇴색하거나 손색될 수 없는 영혼의 안내서라 감히 말하고 싶다.​

 

이 책을 만날 즈음 삶에서 Being 과 Doing에 대한 고민을 하며 답을 구했던 것 같다.

끊임없이 질문하는 학생에게 우주는 딱 맞는 스승을 보내주셨다.(학생이 준비가 되면 스승이 나타난다..)

파머 선생님의 자명한 글, 교사(개인)의 정체성과 성실성에 대한 파머선생님의 통찰에 무릎을 치며, 환희에 젖었던 그 순간이 지금도 선명히 기억난다.

지금도 내 삶에서 부단히 성찰하는 부분.

무엇을 할 것인가 Doing 가 아닌

어떻게 할 것인가, 바로 존재 Being에 그 답이 있음을 기억하며 신의 섭리 안에 만나는 선한 인연들께 두 손 모아 깊은 인사를 드린다.

--------------------------------------------

​- 훌륭한 가르침은 하나의테크닉으로 격하되지 않는다. 훌륭한 가르침은 교사의 정체성과 성실성으로부터 나온다.

 

​- 가르침의 용기는, 마음이 수용 한도보다 더 수용하도록 요구당하는 그 순간에도 마음을 열어놓는 용기이다. 그리하여 선생, 학생, 학과는 배움과 삶이 요구하는 공동체의 옷감으로 짜여지는 것이다.

- 우리는 우리 자신과 우리의 힘이 혁명을 가져온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그러나 그런 몇 가지 관련사항을 기억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기억하기 re-membering는 우리 자신을 재정비하여 정체성과 성실성을 회복하고 우리 삶의 온전성을 다시 주장하는 것을 말한다. 정체성을 망각한다는 것은 우리에 대한 몇 가지 정보를 잃어버리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정체성을 잃어버리면 우리 자신을 절연 dis-member시키고 우리의 정치, 우리의 일, 우리의 마음에 불행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학자들은 때때로 이탈 dismemberment의 고통을 겪는다. 겉으로 볼 때 이것은 학자 사회에 들어왔으나 동료나 학생들과 애정 없는 경쟁적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학자들의 고통을 말한다. 하지만 더 깊숙이 파고들어 가보면, 이 고통은 사회적인 것이라기보다 정신적인 것이다. 그것은 우리의 내적 진실, 우리를 교직으로 인도한 정열, 모든 훌륭한 일의 원천인 마음으로부터 절연되었기 때문에 느끼는 고통이다.​

아! 절연되지 않기를!!!​

----------------------

내 독서 습관으로 책을 읽으며 특별히 기억하고 싶은 부분은 따로 적기도(수첩이나 책 속표지에) 하고 밑줄을 긋기도 하는데, 이 책은 거의 모든 글에 밑 줄 쫙~~~그어져 있다. 언제 다시 이 책을 또 읽게 될지 모르겠지만(이번에 읽은 건 4번째다) 만남을​ 허락해주셨고 또 허락해주실 신께 미리 감사드리며, 인샬라~~~~

뱀 발 : 고마운 은철이를 만나고 싶어 SNS 페이스북을 하고 있다. 고마운 인철이를 다시 만날 수있길 念하며~

http://blog.naver.com/innerteacher 마음비추기 피정 안내​

 

 

 

​- 훌륭한 가르침은 하나의테크닉으로 격하되지 않는다. 훌륭한 가르침은 교사의 정체성과 성실성으로부터 나온다.
​- 가르침의 용기는, 마음이 수용 한도보다 더 수용하도록 요구당하는 그 순간에도 마음을 열어놓는 용기이다. 그리하여 선생, 학생, 학과는 배움과 삶이 요구하는 공동체의 옷감으로 짜여지는 것이다.
- 우리는 우리 자신과 우리의 힘이 혁명을 가져온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그러나 그런 몇 가지 관련사항을 기억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기억하기 re-membering는 우리 자신을 재정비하여 정체성과 성실성을 회복하고 우리 삶의 온전성을 다시 주장하는 것을 말한다. 정체성을 망각한다는 것은 우리에 대한 몇 가지 정보를 잃어버리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정체성을 잃어버리면 우리 자신을 절연 dis-member시키고 우리의 정치, 우리의 일, 우리의 마음에 불행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학자들은 때때로 이탈 dismemberment의 고통을 겪는다. 겉으로 볼 때 이것은 학자 사회에 들어왔으나 동료나 학생들과 애정 없는 경쟁적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학자들의 고통을 말한다. 하지만 더 깊숙이 파고들어 가보면, 이 고통은 사회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정신적인 것이다. 그것은 우리의 내적 진실, 우리를 교직으로 인도한 정열, 모든 훌륭한 일의 원천인 마음으로부터 절연되었기 때문에 느끼는 고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