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리지 않는 어머니에게 물어보러 가다
이가라시 다이 지음, 노수경 옮김 / 사계절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인상깊은 책이었다. 생각할 거리가 팝콘처럼 팝팝 튀어나왔다. 그런데 어떻게 이야기를 시작해야할지 어떤 이야기를 해야할지 정말 어려웠다. 


세상에 태어나서 관계를 맺는 첫 타인은 부모이라고 한다. 부모에게 애정을 받고, 소통하는 방법을 배워 다른 타인과의 소통에도 활용한다. 그렇게 세상에 태어난 아가의 세상은 점점 넓어진다. 부모가 하는 행동을 따라하거나, 부모의 말을 따라하는 것은 어린아가의 성장에 꼭 필요한 과정이다. 그런데 이 글의 주인공은 부모와 내가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성장과정에서 고민이 많았다고 했다. 같은 표현방법을 사용하는 부모자식도 이해되지 않을 때가 많은데, 표현방법이 다른 어려움을 감히 상상하기 쉽지 않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저자의 부모님이 결혼해서 아이를 낳으면 아이를 대신 길러주겠다고 한 이모의 말이다. 이모는 이미 어려움을 겪으면서 살아가는 동생 부부를 위한 희생을 하겠다는 배려였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장애가 있는 부부를 고립시키는 선의일 수도 있다는 말에 양쪽의 입장이 모두 이해가 되고, 그래서 더 복잡한 심정이었다. 부모님이 서로의 짝으로 청인이었으면 하는 이유도 공감이 갔다. 부부가 같이 살고 있는 집을 방문한 할아버지가 초인종을 눌러도 응답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얼마나 막막했을지 상상조차 가지 않는다. 그 부부가 얼마나 살기 어려울지 걱정되는 마음도, 사랑하는 사람과 같이 살고 싶다는 바람도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포기하라는 말을 들어야 하는 마음도 마찬가지였다. 어떻게 하는 것이 그 부부를 도와주는 방법이었을까? 책을 다 읽은 지금도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나의 동생이어도, 자식이어도, 이미 한참 성인이 지난 부모님이어도 쉽게 이야기할 수 없을 것 같다. 다른 사람을 도와주라는 말은 많이 듣지만, 도움을 받는 사람이 원하는 도움이었을까 생각하면 우리는 다른 사람이 원하는 도움을 주면서 살고 있었을까? 다른 사람을 위한 것이란 무엇일까? 굉장히 고민을 많이 하게 된다.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집에서 수어를 쓰지 않았고, 부모님은 특수교육을 조금 늦게 받은 세대다. 책을 읽으면서 다른 나라의 이야기지만, '아, 맞다. 특수교육이 당연하지 않았던 시대가 있었지. 그 과도기가 있었지.'라는 생각을 하면서 읽게 된다. 부모님은 특수학교를 즐겁게 기억하고 있지만, 선생님은 더 좋은 교육을 해주지 못한 점을 아쉬워하는 점도 굉장히 인상적이다. 우리의 교육의 목표는 무엇일까? '교육부'의 명칭이 '교육인적자원부'일 때가 있었다. 교육을 통해 인적자원을 길러낸다는 취지가 드러난 이름보다 현재의 '교육부'의 이름이 훨씬 낫지만, 여전히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지 궁금하다. 특수교육의 목표는 무엇일까? 우리는 성장하면서 어떤 사람이 되길 바라고, 어떤 사회를 만들어야 할까? 나와 너의 다름을 우리는 어떻게 이해하고 존중하고, 또 같이 살아야할까? 이 책은 참 담담하게도 여러 질문을 한다. 그 질문들은 하나같이 너무 어려운 질문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