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를 만나다 사계절 1318 문고 132
이경주 지음 / 사계절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배경은 조금 독특하다. 죽은 사람들이 자신의 기억을 읽으러 오는 도서관, 로비오다.




이 도서관에 이름도 기억나지 않고, 모든 기억을 잃은 '나'가 있다. 교복을 입고 있으니 학생이겠지만, 왜 여기에 있는지 언제부터 있는지 전혀 기억이 나질 않고, 잠이 오지도 배가 고프지도 않은 이상한 공간이다. 가끔씩 사람들이 오는데 나를 보지도, 내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처럼 행동해 너무무섭고 혼란스러운데, 꼭 나와 같은 또 다른 '아이'가 있다. 그 '아이'는 나보다 먼저 이 도서관에 와서, 도서관에서 유일하게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는 '그 사람'을 기다리자고 한다. 그리고 얼마 뒤 나타난 '그 사람'은 이 도서관의 사서라고 자기를 소개하며, "너희들이 궁금해하는 건 그 책에 다 있어."라고 말한다.




이 책의 '나'와 '그 애'는 친구 관계로 고민이 있었다. 친구와 어떤 갈등이나 오해가 생기고, 대화하지 않으면 어떤 후회로 돌아오는 지 생각해볼 수 있다. '나'의 아버지가 '나'에게 그 친구와 대화해보라며 "비겁한 건 나쁘지만, 너무 겁이 나면 어쩔 수 없이 그럴 때도 있어."라고 말해준다. 친구의 행동에 실망했다고 관계를 끊어버리기보다는 왜 그랬는지 얘기를 해보지 않으면 정말 왜 그랬는지 알 수 없게 되니까.


'나'와 '그 애'는 같은 친구에 대한 기억을 읽게 된다. '나'가 기억하는 친구와 '그 애'가 기억하는 친구는 같은 듯 다르다. 친한 친구라면 서로에 대해 다 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내가 보는 것이 그 친구의 전부는 아니듯, '나'와 '그 애'가 기억하는 그 친구의 모습과 감정은 다르다. 우리는 친구의 어떤 면을 보고 있을까? 그리고 그것으로 우리는 그 친구를 다 안다고 할 수 있을까?




이 책의 '나'와 '그 애'는 자신의 기억을 다 읽고 어떤 미래를 선택하게 될까? 로비오 도서관의 사서는 다시 돌아가면, 로비오에서의 기억은 모두 잊게 된다고 한다. 로비오도서관은 삶과 죽음의 사이에 있는 사람들에게 어떤 것을 보여주고, 무엇을 알려주기 위해서 그 사람들을 초대하는 걸까? 기억을 잃어도 로비오에서 알게 된 것들은 계속 남아있는 것일까?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이수를 통해 우정은 시간의 양이 아니라, 어떤 시간을 보냈는지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 P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