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이야기 지원이와 병관이 7
김영진 그림, 고대영 글 / 길벗어린이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
'딱 우리집 모습'

지원이와 병관이를 아는 사람들의 한결같은 생각이 아닐까 싶다.

담백하리만큼 아주 간결한 제목의 책이 너무나 궁금했다.

달콤한 과자들과 채소들이 가득한 앞표지.
'몸에 좋은 음식'과 '달콤하지만 해로운 음식'에 사이에서의 갈등을
이 책에서도 볼 수 있겠구나 생각들었다.

일곱살 어진이는 예상대로 지원이의 병관이의 새로운 이야기를 반가워했고,
네살 서진이도 표지의 과자그림(서진이가 제일 좋아하는 과자가 있다.ㅎㅎ)을
아주 관심있게 들여다보았으니 '먹거리이야기' 첫인상은 좋은 듯 하다.
'지하철을 타고서'에서 뾰족뾰족한 이를 드러내며 화를 내던 병관이를
무척이나 무서워해서 책을 거부했던 서진에게도 커다란 발전이라 할 수 있다.ㅎㅎ

처음으로 책을 보던 밤, 서진이는 밤 열시가 넘어서까지 불도 못끄게 하고
책을 옆에 끼고선 "칸*먹고 싶어. 빼*로 먹고 싶어" 하는 통에
남편은 농담반 진담반 서평쓸 때 이책의 폐해에 대한 언급도 잊지 말라 한다.^^


메뉴에 따라 입이 헤~벌어지기도 하고
불만이 넘치기도 하는 아이들.
엄마의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닐 수밖에 없다.

야채를 먹지 않은 아이들 걱정에 컴퓨터 검색창에
'야채 잘 먹게 하는 방법'을 검색하는 아빠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억지로 먹이지마세요
*잘게 썰어 볶음밤을 하세요
*고기로 싸서 요리해주세요

이미 하고 있는 방법 외에
새로우 것이 아빠눈에 띈다

*텃밭을 가꾸세요. 스스로 키운 야채는 맛있게 먹습니다.

그렇다면
이 책에선 지원이 가족들이 농장나들이 하는 모습을 보여줄까?
그렇진 않다~라는게 첨엔 의아했다가
이내 미소가 지어졌다.
도시인들의 텃밭은 이상적이지만 역시 쉬운일이 아닐 터...
이 책은 이상을 말하지는 않는다.

피자
된장찌개
카레
새싹비빔밥
스파게티
삼겹살

책에 등장하는 식단이다.
저녁메뉴로 삼겹살을 정한 후 마음 편한 지원이 엄마의 마음을 표현하는 부분에서는
글쓴이가 주부가 아닐까 하는 착각이 들 정도이다.

이 책은 몸에 좋은 음식이나 아이들 식습관에 대해 가르치지는 않는다.
다만 우리집 이야기를 옮겨놓은 듯 한 먹는 이야기를 보며
나의 먹거리고민이 나만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 반갑다.
그리고 나는 지원이엄마와 함께
오늘은 또 무슨 반찬을 만들어 먹을까 고민할 것 같다.

삼겹살 밥상앞에서 모두 행복해보이는 지원이네..
역시 먹는건 즐거운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와 귀로 볼 수 있어요 ZERI 제리 과학 동화 8
군터 파울리 글, 파멜라 살라자 그림, 이명희.김미선 옮김 / 마루벌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군터 파울리 글 / 파멜라 살라자 그림 / 마루벌

아마존강에서 헤엄을 치던 분홍돌고래가 비행하는 박쥐에게 임신한 것을 축하합니다.
임신한 것을 어떻게 알았느냐고 박쥐가 깜짝 놀라자 분홍돌고래가 말합니다.
"나는 코안에 레이더라고 불리는 특별한 장치가 있어서 몸안을 볼 수 있어요."

다시 박쥐가 말합니다.
"당신에게 볼 수 있는 코가 있듯, 나에게는 볼 수 있는 귀가 있어요.
나에게는 초음파 탐지기가 있거든요."

 

 


앞표지를 넘기면 책은 이런 질문을 던집니다.
어진이의 질문은 예상을 빗나갔습니다.

풀숲에서 곤충을 찾는 것은요? 싫어.징그러워.
(어진이는 곤충보다는 숲속 벌레를 생각하는 듯 했어요.)
과학은 좋아해요? 질문에서는 "응"합니다.

너도 나도 과학자가 된 것처럼 느끼게 해주는 기분좋은 질문이지요?^^


 

 그림은 박쥐의 귀, 사람의 눈, 돌고래의 코(입)입니다.
이 책을 처음 접하는 어진, 서진에게 제일먼저 이 그림을 보여주며 이야기를 나누었어요.

 

 



박쥐의 귀를 가리키며 무얼까 물었더니,어진이는
어진이는 토끼의 귀같다고 하고, 서진이는 나비 같다고 합니다.
서진이는 돌고래의 코를 발이라고 하네요.

박쥐의 귀 그림을 여러 개 프린트해서 연상그림을 그려보았습니다.


 

 


 

 

 어진이의 그림이에요.(흑백으로 프린트되어서 박쥐귀가 그저 까맣게 보이네요.)

토끼귀, 숫자3과 2(너무 거저먹는거 아니냐고요~~)
꼬마아이의 바지, 나비의 날개, 오리의 부리입니다.


 

서진이의 그림이에요.
제일 왼쪽에 있는 그림은 어진이 누나래요.
누나가 치마를 좋아해서 치마를 그렸다고 합니다.
다른 그림에 대한 설명은 안해줬어요.


연상그림을 그린 후에 과연 그게 무슨 그림인지 책을 살펴보게 했더니
먼저 알아차린 어진이가 서진에게 설명을 해줍니다.

돌고래는 코로 보고, 박쥐가 귀로 보듯이 사람은 촉감으로 볼 수 있지요?
눈그림을 손에 붙여주며 "손으로도 볼 수 있어요."하니 깔깔대며 좋아합니다.

장난기발동한 어진이는 눈그림을 여기저기 붙이며
발로도 볼 수 있어요.
배로도 볼 수 있어요.
무릎으로 볼 수 있어요.
볼로도 볼 수 있어요.
입으로도 볼 수 있어요.
귀로도 볼 수 있어요.
합니다.

 

 상자에 여러가지 물건들을 넣고 촉감으로 알아맞히기 놀이를 했어요.
장갑, 연필, 테이프, 가위, 풀, 오렌지, 솔방울, 컵, 접시, 씨디, 블록, 거울, 빗, 책, 케이크칼 등..
한 두개만 빼고 거의 정답이었어요
재미있었다고 또 하자는 요청에
전화기, 두루마리 휴지, 립스틱, 빨래집게 등을 넣어 또 한 번 했지요.

 

 엄마가 누나에게 집중하고 있을때
상자에서 나온 립스틱을 어느새 얼굴에 바르고 있는 이서진. ㅡ,.ㅡ

 

 

오늘 어진이는 '박쥐'에 큰 관심을 보였어요.
박쥐책에서 본 이야기를 들러주었어요.
철사로 장애물을 만들어 놓고 박쥐의 눈을 가리고 비행을 시켜보았는데
장애물을 잘 피해 날아다닌대요.
초음파 탐지기로 가능한 일, 어진이도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박쥐 그림을 그려보기로 했어요.
서진이는 누나 그림과 비교해보더니
자기그림은  귀와 눈, 코만 그렸는데 종이가 꽉찼다고 한참을 짜증을 부렸다지요.ㅎㅎ

 

 

 

과학동화여서 딱딱하지 않을까, 어렵지는 않을까 싶었는데 쉽고 재미있었어요.
<알고 있었나요?><생각해보아요><직접 해보아요> 그리고 <부모와 선생님을 위한 안내>부분에서 더 다양한 지식과, 놀잇거리들을 제공받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그리고 본문내용이 모두 영어로도 써 있어서
영어동화책으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가 있어요.

작고 얇지만 많은 것을 담고 있는 책, 독특하고 신선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 루 - 첫 번째 이야기 따개비 루 그림책 시리즈 1
올리브 스튜디오 글,그림 / 킨더랜드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어? 따개비루~ 이거 티비에서 봤던건데~~~"

책을 처음 접한 다섯살짜리 아이의 반응은 예상했던대로였어요.

첫만남이 친숙하다는게 참 좋았습니다.

 

엄마의 마음에 제일 먼저 와닿는 것이 디자인이었어요.

모서리라운딩과 도톰하면서도 부드러운 질감의 종이가 마음에 들었고,

따뜻한 파스텔톤의 색감과 귀엽고 발랄한 캐릭터가

아이의 시선을 끌기 충분해요.

 

책의 면지를 살펴보니

고래 잠보위로 갈매기 두마리가 날아오는 모습이 보이는데,

끝장에 보면 갈매기가 날아가고 있고

잠보 위 따개비 집에 지붕이 만들어져 있고 굴뚝에 연기가 퐁퐁 나고 있어요.

루가 친구들이 도움으로 새 집에 자리잡았음을 보여주는거겠지요.

그냥 지나칠수 있는 면지까지 세세하게 신경써 준 것 같아요.

 

책 내용으로 들어가보면 친구들이 첫만남이 흥미롭고 따뜻합니다.

엄마갈매기의 알바구니에서 떨어진 알이 우연히 고래 잠보위 따개비집으로 들어가고,

벨라와 크루루가 지켜보는 가운데 알을 깨고 나온 루가 만나 친구가 되네요.

 

 

따르르 르르릉~시계소리에 루가 '이제 나갈 시간이네.'하는 장면에서

절로 감탄이 나왔답니다. 알람소리를 듣고 콕콕콕~알을 깨고 나오는 루의 모습이

참 기발하고 귀여워요.

알에서 나온 루와 두 친구는 처음엔 서로 쑥스러워 가까이 다가가지 못하지만,

비가 내리자 지붕이 없는 루의 따개비집을 걱정해주는 마음이 참 예쁩니다.

 

지붕을 만들어주는 장면에서는

원, 팔각형, 세모, 네모

다양한 도형안에 그림을 담고 있어 아이와 얘기꺼리를 더 만들어주고 있네요.

다섯살 아이에게는 아직 어려울 수 있지만

원, 팔각형, 삼각형, 사각형~도형 이름을 같이 알아보기도 했어요.

 

또 한번 감탄하게 하는 장면은

추워진 집에서 루가 온도계에 크레파스로 그려주는 부분이었어요.

"그랬더니 정말 방이 따듯해졌어요."~~ 미소가 절로 지어졌답니다.

추워하는 장면은 푸른색감이었는데

온도를 올려 분홍계통의 색감으로 표현해주었네요.

 

 

이렇게 처음만나 좋은 친구가 된 루, 벨라, 크루루~

앞으로의 이야기에 더욱 기대가 생겼답니다.

 

우리아이는 책앞표지 '루'글자에도 관심을 보였어요,

글자모양이 맘에 들었던지,

손으로 따라가며

"이렇게 길을 따라가면 우리집이 나옵니다.~"하며 길찾기도 하고

모음 'ㅜ'에서 하트도 찾고, 새싹도 만나네요.

 

이렇게 글자 하나에서부터

아이의 시선을 흥미롭게 끌어주는 '안녕~루'

참 기분좋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만남이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